SK하이닉스, 창립 42주년 날 시총 300조 돌파…AI 메모리 호재

| 연합뉴스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창립 42주년인 10월 10일 장 초반부터 강세를 보이며 42만 원을 돌파했고, 시가총액은 사상 처음으로 300조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상승은 인공지능 특화 메모리 수요 급증과 반도체 업황 반등 기대감 등이 어우러진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SK하이닉스의 주가는 개장 직후 42만6천 원으로 출발한 직후 한때 11% 넘게 급등해 43만9천250원을 기록했다. 이로써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317조 원까지 치솟으며 사상 첫 ‘300조 클럽’에 입성했다. 이는 불과 4개월 전인 6월 200조 원을 처음 돌파한 데 이어, 작년 말 126조6천억 원과 비교하면 1년도 안 돼 약 180조 원 가까이 불어난 수치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11년 13조 원 수준이던 시가총액이 2012년 SK그룹에 인수된 이후 반도체 기술력 강화와 글로벌 공급망 확대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했다. 2021년에는 처음으로 시총 100조 원을 넘어섰지만, 2023년 3월 메모리 반도체 업황 침체로 55조 원대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이후 AI 산업 성장에 발맞춰 고대역폭 메모리(HBM)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에 집중하면서 반등의 전기를 마련했다.

특히 최근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차세대 HBM인 HBM4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고 발표하면서, 기술 우위를 다시금 입증했다. 주요 고객사인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대부분의 HBM 물량을 공급하고 있으며, 연간 생산 물량은 이미 완판 상태다. 여기에 오픈AI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 등도 시장의 긍정적 평가를 끌어냈다.

이 같은 실적 흐름에 증권가도 SK하이닉스의 3분기 칩 수요와 수익성 전망을 잇따라 상향 조정하고 있다.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최근 14곳 증권사들이 전망한 SK하이닉스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8.7% 증가한 11조1천억 원, 매출은 38.1% 증가한 24조2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전문가들은 AI용 데이터센터 투자와 맞춤형 반도체(ASIC) 수요가 동반 증가하면서, 고성능 메모리 시장이 추가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본다.

SK하이닉스의 성장에 힘입어 SK그룹 전체 시가총액은 423조 원으로 불어났다. 이는 2004년 25조 원과 비교하면 16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가 2017년 처음으로 시총 400조 원을 돌파한 뒤 8년 만에 또 다른 국내 그룹이 이 기준을 넘어서게 된 배경에는 SK하이닉스 중심의 반도체 주도 성장이 자리하고 있다.

향후에도 인공지능 산업 확산과 함께 고성능 메모리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SK하이닉스의 기술 리더십과 생산 역량이 지속적인 시가총액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글로벌 경기 상황과 반도체 시장의 변동성이 커 향후 전략적 제품 개발과 공급망 확보에 대한 지속적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