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부에서 발생한 전산 시스템 장애를 복구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 1천여 명을 투입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화재로 발생한 대규모 물리적 피해와 복잡한 시스템 연계 구조로 인해 복구 작업은 예상보다 더뎌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9월 26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는 주요 전산실을 강타하면서 7-1 전산실 시스템을 전소시켰다. 당시 화재는 22시간 만에 진화됐지만, 불이 장시간 서버실 내부를 태우면서 발생한 검은 분진이 인근 전산실 장비까지 심각한 손상을 입혔다. 물리적 화재 피해 외에도 이 분진이 민감한 장비 내부로 유입되면서 전면적인 청소와 점검이 필요해졌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전산 장애의 직접 원인이 된 전산실뿐 아니라 다른 층의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까지 복구 대상에 포함해 시스템 전반을 정비하고 있다. 지난 10일 기준, 현장에는 공무원 200여 명과 민간 전문인력 760명이 투입됐으며, 분진 제거 작업에는 민간 기술자 50여 명이 동원됐다. 이 중 10여 명은 해외에서 급파된 정밀 복구 전문가로, 주로 서버 내부 분해 및 청소를 맡고 있다.
서버 및 스토리지 제조사, 국책 연구기관 또한 복구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의 연구진 9명은 복구 전략 수립 및 기술 자문을 맡고 있으며, 제조사에서는 30여 명을 현장에 파견했다. 정부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분진 피해가 컸던 8 전산실의 정리를 마무리하고 전기선로 복구를 완료하는 대로, 신규 장비를 연결해 순차적으로 시스템을 재가동할 계획이다.
다만 10월 12일 현재, 전체 시스템 복구율은 여전히 30%대에 머물러 있다. 중요도가 높은 1등급 시스템은 3분의 2가량 복구됐지만, 전체 전산망 정상화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특히 이번 사태에서 드러난 전산 시스템 이중화(중복 백업을 통해 시스템 장애 시에도 운영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 미비 문제가 복구 지연과 피해 확산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정부 차원의 제도 개선 요구도 커지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정부의 디지털 인프라 관리 및 보안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과 대대적인 구조 개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전산 시스템의 물리적 안전 뿐 아니라 중복 운영 체계를 포함한 위기 대응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