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반도체 국산화에 27조 원 쏜다…라피더스 '2나노 승부수'

|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국가 안보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도체 국산화 프로젝트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핵심 기업 라피더스에 약 11조 원 규모의 추가 재정 지원을 결정하면서, 총 지원액이 27조 원을 넘어서게 됐다.

22일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아사히신문 등 일본 주요 매체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2027회계연도(2027년 4월~2028년 3월)까지 단계적으로 라피더스에 자금을 투입하는 새 지원 계획을 내놨다. 내년 3월까지 1천억 엔, 2026년에는 1천500억 엔 이상을 출자할 예정이며, 같은 해에는 연구·개발 비용으로도 6천300억 엔이 별도로 책정됐다. 이듬해에도 3천억 엔 추가 지원이 예정돼 있어 라피더스가 받게 될 추가 재정 지원 총액만 1조1천800억 엔(약 11조1천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라피더스는 일본 주요 대기업들이 모여 2022년 출범시킨 합작 법인으로, 도요타, 소니, 키옥시아, NTT 등이 주요 출자자로 참여하고 있다. 설립 목적은 첨단 반도체 국산화로, 현재 2나노미터(㎚)급 반도체의 본격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라피더스는 2028년 3월까지 양산을 시작하고, 2029년에는 손익분기점을 달성한 뒤 2031년에는 주식시장에 상장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일본 정부는 민간자본의 적극적인 투자 참여가 부족한 상황에서 라피더스를 국가 전략산업으로 간주하고, 정책적 보호와 자금 지원을 강화해 왔다. 이번에도 정부는 막대한 재정 투입과 함께, 사업 주요 의사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황금주(거부권이 포함된 우선주)’를 보유한다는 방침이다. 동시에 사업 진행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해 관리감독도 강화할 예정이다.

일본의 이 같은 선택은 반도체 공급망을 안정화하고, 미국과 유럽, 대만 등이 주도하고 있는 첨단 반도체 기술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전략적 대응으로 풀이된다. 미국과의 기술 협력 확대, 국내 첨단 제조업 육성, 중국과의 기술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전환의 일환이기도 하다.

이번 지원 확대는 단기적 성과보다는 중장기적 산업 기반 확보를 노린 것으로, 향후 일본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어느 정도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을지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정부 주도 성장이 안착하려면 민간 투자 유치와 수익성 확보라는 난관도 함께 풀어나가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