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이 전자통관시스템 '유니패스(UNI-PASS)'의 해외 수출 확대를 위해 적용 분야를 인공지능 기반 위험관리 시스템과 특송 물류 시스템까지 확장하기로 하면서, 한국형 전자정부 시스템의 수출 경쟁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관세청은 2025년 11월 25일 서울세관에서 열린 민관협의회를 통해, 행정안전부와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등 관계기관은 물론 민간기업들과 함께 이 같은 전략을 공유했다. 유니패스는 전자 통관 행정을 구현한 한국의 대표적인 디지털 시스템으로, 관세 업무 전반을 자동화해 통관 시간과 비용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 시스템은 2008년 수출을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16개국에 도입됐으며, 누적 수출액은 약 3억 3천만 달러에 달한다. 수출 대상국에는 베트남, 에콰도르, 우즈베키스탄 등 다양한 개발도상국이 포함돼 있으며, 각 국가의 통관 시스템 현대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수출은 단순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이전이 아니라, 교육과 운영 컨설팅 등 '행정 한류'를 포함하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관세청은 최근 유니패스의 적용 범위를 단순 통관 행정에서 나아가 위험 요소를 사전에 포착하는 인공지능 위험관리 시스템, 그리고 글로벌 전자상거래 확산에 따라 중요성이 부각되는 특송 물류 시스템까지 확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출입 과정에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상대국의 관세 행정을 보다 정교하게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관세청 관계자는 유니패스 수출 확대의 효과에 대해 "단순히 시스템 수출로 인한 수익 증대에 그치지 않고, 상대국 내 우호적인 통관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진출과 활동을 돕는 간접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즉, 유니패스를 수출한 국가에서는 우리 기업 상품의 통관이 원활해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는 의미다.
이 같은 디지털 행정수출의 확대는 단기적으로는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한국의 디지털 기술과 제도를 세계 표준으로 정착시키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세계 세관기구(WCO) 등 국제 협력 틀 속에서 한국형 통관 시스템의 입지가 강화될 수 있어, 향후 관련 기술과 인력에 대한 수요도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