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입니다. 오늘은 메사리 리서치에서 나온 더 그래프 GRT의 2025년 2분기 현황 보고서를 가지고 왔습니다. 함께 좀 깊이 들여다보려고 하는데요. GRT의 최신 동향 뭐 주목할 만한 성과 그리고 앞으로 전망까지 중요한 내용들 위주로 짚어보겠습니다. 자 우선 2분기 주요 성과부터 좀 볼까요? 더 그래프 네트워크 지표들이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특히 그 쿼리 볼륨 데이터 요청 건수가 사상 최고치를 찍었어요. 64억 9천만 건
진행자
맞아요. 전 분기 대비 5.8% 늘었고 이게 벌써 4분기 연속 성장세입니다.
토큰포스트
그렇죠. 탈중앙화 데이터 수요가 뭐랄까 굉장히 견조하다는 걸 보여주는 거죠.
진행자
그리고 신규 서브 그래프 출시도 눈에 띄었는데요.
토큰포스트
아 내 서브 그래프요
진행자
이게 1673개가 새로 나왔는데 전 분기 대비 거의 46.3%나 급증했어요.
토큰포스트
와 46%요 엄청나네요.
진행자
특히 그 아비트럼으로 대규모 마이그레이션이 완료된 이후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라서 개발자들이 정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죠.
토큰포스트
인덱서 참여는 좀 어땠나요? 한동안 좀 주춤했던 것 같은데,
진행자
아 맞아요. 그 부분도 중요한데 9분기 만에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했습니다. 뭐 아직 큰 폭은 아니지만요 할당된 스테이킹 양이 한 5.3% 늘었고 활성 인덱서 수도 2.8% 정도 증가했어요. 운영이 좀 회복되는 초기 신호로 볼 수 있겠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네트워크 자체는 굉장히 활발한 모습인데
진행자
여기서 주목할 점은 시장 상황이 전반적으로 썩 좋지는 않았잖아요.
토큰포스트
네, 그렇죠. 불확실성이 컸죠
진행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사용량은 꾸준히 늘었다는 겁니다. 커리 볼륨 증가는 이더리움도 있지만 역시 아비트럼 같은 레이어 2 활동 증가가 두드러졌고요. 이게 개발자들이 L2를 포함해서 정말 다양한 체인에서 더 그래프를 적극적으로 쓰고 있다는 의미죠
토큰포스트
네
진행자
그리고 또 하나 GTC20 표준이나 지오제네시스 같은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했는데요.
토큰포스트
근데 GTC20 그건 좀 생소한데요.
진행자
네 이게 단순히 블록체인 데이터를 넘어서는 뭐랄까 탈중앙화된 공공지식 그래프를 구축하려는 시도거든요.
토큰포스트
인공지식 그래프요
진행자
예를 들면 학술 정보나 공공기록 같은 것들을 온체인에서 검증 가능하게 구조화하려는 건데 이건 앞으로 AI 시스템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필요로 할 때 굉장히 중요해질 수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흥미롭네요. 블록체인 데이터 인덱싱을 넘어서는 비전이군요. 자 그럼 재정적인 측면은 어땠는지 좀 살펴보죠. 네트워크 사용량은 이렇게 좋은데 GRT 토큰 가격은 어땠나요? 안타깝게도 가격은 좀 하락했네요. 전 분기 대비 11.1% 하락해서 0.08달러 정도
진행자
이건 뭐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장 약세 영향을 좀 받은 거죠.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렇죠. 그러다 보니 달러 기준으로 스테이킹 가치나 인덱싱 보상도 한 38% 넘게 감소했구요.
진행자
맞아요. 그 부분은 좀 아쉬운데요.
토큰포스트
좀 흥미로운 점도 있어요. 프로토콜 인플레이션율 자체는 1.05%로 크게 낮아졌다는 거 토큰 이코노미는 오히려 긴축적으로 가고 있다는 거죠.
진행자
아 그건 긍정적인 신호네요. 토큰 공급 압력이 줄어든다는 거니까요?
토큰포스트
네 그리고 또 실제 네트워크 사용량 기반 수익 그니까 쿼리 수수료 같은 거요 이건 오히려 늘었어요. 11만 8862달러로 전 분기 대비 6.4% 증가했습니다.
진행자
사용량 증가는 실제 수익으로도 연결되고 있다는 거군요.
토큰포스트
네 아마 그 그래프탈리 같은 결제 효율화 도구 도입도 좀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진행자
그런 부분들이 중요하죠. 그리고 이제 더 큰 그림 미래를 보면요
토큰포스트
네 확장성이나 미래 전망이 중요하죠.
진행자
케이닝크 CCIP 통합계획 발표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토큰포스트
아 CCIP 통합이요. 네
진행자
이걸 통해서 GRT 토큰이 아비트런 베이스뿐만 아니라 주목할 만한 건 솔라나에서도 전송이 가능해진다는 거예요.
토큰포스트
솔라나요? EVM 호환이 아닌데도요
진행자
그렇죠. 이게 그냥 토큰 이동 편의성을 넘어서는 의미가 있습니다. 앞으로 L2나 솔라나 같은 다른 체인 위에서 직접 GRT를 스테이킹하거나 위임하거나 또 쿼리 수수료를 지불하는 그런 크로스체인 유틸리티 확장의 기반이 되는 거거든요.
토큰포스트
와 그건 정말 큰 확장인데요.
진행자
EVM 생태계를 넘어서 솔라나까지 지원을 넓힌다는 건 더 그래프의 확장성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단계입니다.
토큰포스트
확실히 미래를 보고 움직이는 느낌이네요.
진행자
그 외에도 뭐 스텔라 트론 루트스톡 렌즈 체인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통합도 계속 진행 중이구요.
토큰포스트
알겠습니다. 자 그럼 정리를 좀 해볼까요? 2025년 2분기 더 그래프는 시장 상황은 어려웠지만 네트워크 사용량이나 개발자 활동 면에서는 상당히 인상적인 성장을 보여줬다
진행자
네 맞습니다. 핵심 지표는 좋았죠
토큰포스트
네 재정적인 압박은 있었지만 뭐 GRC 20이나 CCIP 통합 같은 미래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딘 시기였다. 이렇게 볼 수 있겠네요.
진행자
그렇죠. 단계적인 가격 변동보다는 네트워크의 본질적인 성장과 미래 준비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자 그럼 이 모든 게 지금 듣고 계신 여러분께는 어떤 의미일까요? 제 생각에는 더 그래프가 이 탈중앙화 데이터 인프라 시장에서 핵심 플레이어로서 자리를 확실히 굳히고 있다는 신호로 보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AI 시대가 오면서 구조화되고 검증된 데이터의 중요성은 더 커질 거구요. 또 블록체인도 여러 체인으로 확장될 텐데 이런 환경에서 더 그래프의 역할이 더 중요해질 수 있다는 거죠.
진행자
네 정확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생각해 볼 거리가 있는데요. 그래프가 이제 GRC 20같은 걸 통해서 단순히 블록체인 데이터를 넘어 탈중화화된 지식 그래프로 나아가려고 하잖아요.
토큰포스트
네 아까 말씀하셨죠.
진행자
그리고 AI 시스템은 점점 더 신뢰할 수 있고 검증 가능한 구조화된 데이터를 필요로 할 거고요. 그렇다면 과연 더 그래프가 미래에는 이 탈중화화된 지식 그 자체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까지 진화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을 던져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와 탈중앙화된 지식 인프라라 정말 흥미로운 질문이네요. 앞으로 지켜봐야 할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네 오늘 더 그래프 2분기 보고서 분석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이상 토큰포스트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