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인 랩스(Klein Labs)와 케이원 리서치(K1 Research)가 공동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퍼블릭 체인 시장에서 차세대 유망 Layer 1 프로젝트로 주목받는 모나드(Monad)가 성능과 호환성의 경계를 허물며, 고성능 EVM 기반 블록체인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모나드는 자체 합의 메커니즘인 MonadBFT와 낙관적 병렬 EVM 구조를 채택해 최고 10,000 TPS와 0.8초 내 거래 확정성을 목표로 하며, 동시에 완전한 이더리움 바이트코드 호환성까지 확보해 개발자와 사용자 유입 장벽을 낮췄다.
모나드는 퍼블릭 체인 시장의 두 축인 이더리움의 ‘풍부한 생태계 기반 + 낮은 성능’ 모델과 솔라나(Solana)의 ‘압도적 처리량 + 낮은 호환성’ 모델에서 각각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등장했다. 핵심 기술인 MonadBFT는 HotStuff 계열의 단점을 보완해 단일 라운드에서 거래를 확정할 수 있으며, 실행 계층에서는 병렬 처리 중 충돌 거래만 롤백하는 낙관적 병렬 EVM을 적용해 스마트 계약의 처리 효율을 크게 끌어올렸다.
K1 Research는 테스트넷 데이터를 인용해, 모나드의 최근 90일간 평균 거래 성공률이 98.18%에 달하며, 누적 거래 수는 약 2억 5천만 건을 넘었다고 밝혔다. 또한 블록Raptor 데이터 기준, 활성 지갑 수는 3억 개를 돌파했지만 이들 중 89%는 단 1회만 거래한 단기 참여자로 분석돼 초기 유입은 높았으나 활성도 유지는 과제로 남았다. 테스트넷 성능을 보면, 블록 간격은 0.5초, TPS는 평균 100~350 수준으로, 이론상 목표치와의 간극은 존재하지만 병렬 구조 안정성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지속적인 기술 검증 외에도 모나드는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올리고 있다. 현재 280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등록되어 있으며, 누적 생태계 자금은 13억 달러를 초과했다. 핵심 DeFi 프로젝트인 aPriori, Kuru Exchange, Kintsu 등은 Pantera Capital, Binance Labs, Paradigm 등 글로벌 벤처 투자사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인프라부터 게임, RWA(실물자산) 기반 서비스, 소셜 베팅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초기 실행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주목할 점은 개발자와 사용자에 대한 모나드의 전략적 접근이다. 프로젝트는 ‘Builders First’ 원칙 아래 Foundry 프로그램, 해커톤, 기술 멘토링 등 전 사이클 지원을 통합 제공하며, 성숙 생태계에서 얻기 어려운 초기 진입 우위, 즉 ‘선점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사용자 측면에서는 ‘Monad 카드’를 활용한 초청 기반 커뮤니티 참여, 테스트넷 피드백 보상, 커뮤니티 AMA 등 정밀한 운영 전략을 통해 초기 커뮤니티 기반을 확보했다.
경쟁 구도에서 Monad는 독립형 퍼블릭 체인으로서 BSC, Sei, MegaETH 등과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BSC의 낮은 탈중앙화, MegaETH의 중앙화된 시퀀서 의존, Sei의 기술 검증 전 단계에서 드러나는 현실적 한계를 고려할 때, Monad의 목표인 완전 호환성과 고성능 실현은 명확한 차별점이다. 특히 케이원 리서치(K1 Research)는 Monad의 낮은 마이그레이션 비용과 직접적인 이더리움 생태계 흡수 가능성이 그 무엇보다 큰 전략 자산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마냥 낙관적일 수만은 없다. 메인넷은 아직 출시 전이며, 목표 대비 실제 TPS 차이, 줌인된 사용자 훅 기반의 재참여 유도 전략 한계, 검증자 모집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탈중앙화 논점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분명히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묘한 긴장감은 커뮤니티 내에서도 대비 조절되고 있으며, 개발팀 역시 기술 보고서, 검증자 정책 설명, Testnet 자체 데이터 공개 등을 통해 투명한 대응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Monad는 ‘고성능 + 완전 EVM 호환성’이라는 기술적 접근과 ‘빌더 친화’ 전략을 기반으로 차세대 퍼블릭 체인 경쟁에서 단단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K1 Research는 메인넷 출시 이후 실제 성능 검증과 활성화 유지 전략의 실행 여부가 향후 프로젝트의 중장기 가치를 결정지을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