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 없는 디지털 달러 시대 열린다”…알레아 리서치, 플라즈마의 차세대 결제 혁신 주목

| 이도현 기자

암호화폐 리서치 기관 알레아 리서치(Alea Research)에 따르면, 플라즈마(Plasma)는 차세대 스테이블코인 중심 결제 레이어1(L1) 블록체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고속 합의 메커니즘, EVM 완전 호환성, 10억 달러 이상의 초기 유동성 등을 기반으로 일상적인 디지털 달러 결제를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췄다는 분석이다.

플라즈마는 미국 달러 스테이블코인에 최적화된 고성능 체인 구조를 기반으로, 범용 L1이 제공하지 못하는 예측 가능성, 속도, 낮은 비용을 내세운다. 특히 각종 모듈을 통해 수수료 없는 USD₮ 전송, 사용자 지정 가스 토큰, 기밀 결제 기능을 온체인으로 구현하고 있어 기업 및 일반 사용자들의 접근 장벽을 낮췄다. 알레아 리서치는 이러한 기능들이 스테이블코인의 범용 결제 확산에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플라즈마의 핵심 경쟁력은 ‘가스 없는 체인’이라는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이다. 전용 페이마스터를 통해 USD₮ 전송 시 네이티브 토큰 없이도 수수료 없이 거래가 가능하며, 사용자는 USD₮나 pBTC처럼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ERC-20 토큰으로도 네트워크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이는 전통적 블록체인에서 요구되는 이중 자산 처리 부담을 제거하여 대중 채택 가능성을 확대한다.

또한 플라즈마는 비트코인을 위한 네이티브 브릿지를 제공하여 BTC와 동일한 가치의 pBTC를 온체인 거래에 사용할 수 있게 했다. 검증자 다중 서명 구조와 영지식 증명 기반 기밀 결제 모듈은 기업과 기관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요건을 동시에 만족시킨다.

플라즈마의 컨센서스 레이어는 패스트 핫스터프(Fast HotStuff)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플라즈마BFT로 구현되며, 실행 레이어는 러스트(Rust) 기반 EVM인 레스를 사용해 높은 퍼포먼스와 개발자 호환성을 모두 확보했다. 공식 문서에 따르면, 블록 제안에서 최종성 도달까지 지연 시간은 초 단위 이하 수준이다.

알레아 리서치는 보고서에서 플라즈마가 '디지털 화폐를 디지털처럼 작동하게 한다'는 비전을 구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메인넷 초기부터 테더/비트파이넥스는 물론 피터 틸의 파운더스 펀드 등 전략적 자본이 유입되어, 출시 첫날부터 10억 달러 규모의 유동성이 확보될 예정이며 이는 콜드스타트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조건이 된다.

한편, 미국의 ‘지니어스 법(GENIUS Act)’ 제정 이후 스테이블코인의 제도화가 가속화되며, 기관의 자금 유입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알레아 리서치는 강세 시나리오에서 스테이블코인 전체 시장 규모가 최대 1조 2,00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현재 플라즈마 위에 구축 중인 소비자 앱 ‘플라즈마 원(Plasma One)’은 이자 수익과 실물 카드 결제를 통합한 네오뱅크로 설계되어, 일반 사용자의 온보딩을 돕는 중요한 유통 채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도 존재한다. 검증자 세트의 초기 중앙화, 수수료 보조 방식의 지속 가능성, 기밀 결제 모듈에 대한 규제 대응 등은 향후 주요 리스크로 지목된다. 특히 무료 전송 정책은 운영 비용 증가를 수반하며, 인증된 사용자에 한정된 보조금 모델이 채택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알레아 리서치는 플라즈마를 통해 디지털 달러의 실시간 유통과 온체인 결제의 새로운 표준이 수립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사용자 경험과 인프라 측면의 제약을 프로토콜 레벨에서 해결한 설계는 스테이블코인을 일상 결제 수단으로 도약시키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