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플라즈마(Plasma) 블루프린트 리포트

09 Sep, 2025


목차

 

1. 플라즈마 개요

 

2. 주요 결제 제약 사항 해결

 

3. "1조 달러" 테제

 

4. 문제 제기

 

5. 플라즈마의 핵심 가치 제안

 

6. 아키텍처 개요

 

7. 플라즈마BFT 컨센서스 레이어

 

8. EVM 실행 레이어

 

9. 네이티브 비트코인 브릿지

 

10. 스테이블코인 네이티브 계약

 

11. 모듈 #1: 수수료 없는 USD₮ 전송

 

12. 모듈 #2: 사용자 지정 가스 토큰

 

13. 모듈 #3: 기밀 결제

 

14. 플라즈마 기반 개발

 

15. 핵심 스테이블코인 결제 활용 사례

 

16. 플라즈마 원

 

17. XPL: 네이티브 토큰

 

18. XPL 토크노믹스

 

19. XPL 공급 일정

 

20. 강세 전망

 

21. 약세 전망

 

22. 추가 촉매제

 

23. 자료


1. 플라즈마 개요

 

플라즈마(Plasma)는 스테이블코인을 최우선 기본 요소(first-class primitive)로 취급하는 특수 목적의 레이어1(L1) 블록체인이다. 범용 체인을 결제에 맞추기보다, 미국 달러 스테이블코인에 필요한 속도, 거의 없는 비용, 예측 가능한 최종성을 중심으로 아키텍처를 설계했다.

 

주요 특징

• 고성능 레일: 파이프라인 방식의 패스트 핫스터프(Pipelined Fast HotStuff) 합의 알고리즘과 모듈형 레스(Reth) 기반 EVM을 결합하여 초 단위 미만의 블록 제안 시간과 결정론적인 비잔틴 장애 허용(BFT) 최종성을 구현했다. 이는 대량 결제 처리에 최적화된 설계다.

 

• 스테이블코인 네이티브 기능: 수수료 없는 USD₮ 전송, 화이트리스트에 등재된 스테이블코인으로 가스비를 선택적으로 지불하는 기능, 기밀 결제 도구 등을 통해 일상적인 사용자 경험(UX)의 마찰을 줄이고 기관 비즈니스를 지원한다.

 

• 신뢰할 수 있는 지원 및 초기 유동성: 테더/비트파이넥스(Tether/Bitfinex), 파올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 그리고 피터 틸(Peter Thiel)의 파운더스 펀드(Founders Fund) 등 전략적 투자자들이 자본과 지적 자원을 투입했다. 또한 메인넷 출시 시점에 10억 달러 이상의 USD₮ 예치가 확정되어 네트워크 효과를 촉진한다.

 

플라즈마의 설계 방향은 명확하다. 또 다른 '만능 체인'이 되기보다, 다음 1조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을 위한 네이티브 결제 레이어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현금 이동이 즉각적이고 비용 없이 느껴지도록 만드는 체인이 되고자 한다.


2. 주요 결제 제약 사항 해결

 

현대의 자금은 인터넷보다 오래된 시스템 위에서 움직인다. 어음 교환소의 마감 시간, 중개 은행, 카드 네트워크 등은 모든 단계에서 비용과 지연을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이 시스템은 다른 대안이 없거나, 비용, 시간, 데이터 노출을 감수할 의향이 있는 사람들만 이용할 수 있다.

 

플라즈마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부차적인 사례가 아닌 새로운 결제 체인의 핵심 설계 제약 조건으로 간주한다. 1달러 미만의 소액 송금과 글로벌 송금을 은행이 수천만 달러 규모의 전신 송금을 처리하는 것과 같은 긴급성으로 다루고자 한다.

 

제약 사항 전통 금융의 문제점
비용

전 세계적으로 일반적인 송금 수수료는 여전히 비싸며, 은행과 중개 기관들은 송금 및 결제에 높은 비율의 수수료를 부과한다.

속도

국가 간 전신 송금은 자금이 여러 중개 은행을 거치면서 정산되기까지 영업일 기준 1일에서 5일이 소요될 수 있다. 변동성이 큰 경제에서는 이러한 지연이 실질 가치를 잠식하는 경우가 많다.

소액 결제

카드사들은 약 3% 이상의 수수료와 거래당 추가 수수료를 부과하기에 소액 결제는 거의 불가능하다. 사용자들은 특정 수수료를 피하기 위해 더 큰 금액을 이체해야만 한다.

접근성 및 포용성

기존 금융 시스템은 은행 계좌와 안정적인 현지 통화를 전제로 한다. 이 두 가지 중 하나라도 없는 10억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글로벌 상거래는 여전히 먼 이야기다.


3. "1조 달러" 테제

 

스테이블코인은 더 이상 암호화폐만의 영역이 아니며, 업계가 찾고 있던 기관 자금의 유입 통로가 되고 있다. 규제의 명확성은 이러한 변화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 2025년 7월 18일에 서명된 지니어스 법(GENIUS Act)은 미국 달러 기반 코인에 대한 최초의 연방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 분석가들은 이 법이 대규모 기관 참여를 유도할 것으로 예상하며, 유럽과 영국도 자체 규제 프레임워크를 준비 중이다.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 전망

출처: 디파이라마(DefiLlama), 제이피모건(J.P. Morgan), 코인베이스(Coinbase), 스탠다드차타드(Standard Chartered),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번스타인(Bernstein), 맥킨지 앤 컴퍼니(McKinsey & Company)

 

참고: 위 예측은 은행/증권사/펀드의 발표된 예측을 기반으로 하며, 약세는 가장 낮은 예측, 기본은 모든 주요 예측의 중앙값, 강세는 가장 높은 예측들의 평균값을 적용했다.

 

스테이블코인이 전통 금융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식

 

전통 금융의 문제점 스테이블코인의 해결책
24시간 달러 부재: 은행 자금은 주말 및 공휴일에 이동이 중단된다. 토큰화된 현금은 공공 원장에서 연중무휴 24시간 정산된다.
높은 정산 수수료: 전신 송금, 카드 정산, 스위프트(SWIFT) 비용은 30~100bp에 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수수료가 1센트 미만이며 중개 은행 수수료가 없다.
제한된 글로벌 도달 범위: 중개 은행 시스템은 단편적이고 느리며 제재에 취약하다. 온체인 달러는 국내 송금과 동일한 방식으로 국경을 넘나든다.
낮은 상호운용성: 폐쇄적인 은행 API는 혁신을 저해한다. 스마트 계약 표준은 자금이 모든 디앱(dApp)이나 프로토콜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4. 문제 제기

 

스테이블코인은 수천억 달러 규모의 자산군으로 성장했지만, 여전히 일상적인 디지털 거래를 위해 설계되지 않은 체인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불일치는 사용자와 개발자가 가능한 한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려 할 때마다 드러난다. 결과적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용자 경험은 취약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암호화폐 네이티브 사용자 외의 대중적 채택을 제약하고 있다. 플라즈마는 이러한 문제들이 각 애플리케이션 팀이 개별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프로토콜 레이어에서 해결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시장에 진입했다.

 

범용 블록체인에서 스테이블코인이 직면하는 한계

 

• 별도의 가스 토큰 요구: 다른 체인에서는 간단한 USD₮ 전송에도 비용을 충당할 가스 토큰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체인에서 이 비용은 미미하지만, 사용자는 여전히 가스 토큰을 구매하고 보유해야 한다.

 

• 직접 구현해야 하는 수수료 추상화: EIP-4337 페이마스터(paymaster)를 사용하면 앱이 가스비를 대신 내주거나 스테이블코인을 받을 수 있지만, 각 팀은 자체 계약 인프라를 배포하고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이는 운영 위험과 일관성 없는 사용자 경험을 초래한다.

 

• 기본적으로 공개되는 거래 내역: 모든 전송 정보(상대방, 금액 등)가 공개적으로 모두에게 보인다. 기관에게 개인 정보 보호의 부재는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다.

 

• 단편화된 개발 도구: 지갑은 여러 잔액을 관리해야 하고, 개발자들은 사용자들이 현금이나 카드에서 기대하는 경험을 비슷하게 구현하기 위해 릴레이어, 오라클, 임시방편의 프라이버시 레이어를 조합해야 한다.


5. 플라즈마의 핵심 가치 제안

 

플라즈마는 암호화폐 채택의 상당 부분이 스테이블코인 성장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는 단 하나의 가정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합의 메커니즘부터 스마트 계약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이 목표에 맞춰져 있으며, 이는 플라즈마의 핵심 가치 제안을 형성하는 세 가지 구체적인 강점을 제공한다.

 

핵심 가치 설명
스테이블코인 특화 설계   수수료 없는 USD₮ 전송, 사용자가 USD₮나 pBTC로 가스비를 지불할 수 있는 프로토콜 운영 페이마스터, 그리고 향후 제공될 기밀 결제 모듈은 오늘날 스테이블코인 사용자 경험을 저해하는 두 개의 토큰을 관리해야 하는 문제와 데이터 유출 문제를 해결한다.
고성능 아키텍처 파이프라인 방식의 패스트 핫스터프 합의 메커니즘과 레스(Reth) 기반의 모듈형 EVM 실행 레이어를 특징으로 하며, 높은 처리량, 낮은 지연 시간, 일관된 성능을 보장한다.
출시 첫날의 유동성 출시 시점에 10억 달러 이상의 USD₮ 예치가 사전 확보되어, 디앱들이 이미 사용 가능한 현금과 거래 상대방이 있는 시장에서 시작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플라즈마를 디지털 달러가 마침내 디지털 데이터처럼 즉각적이고, 저렴하며, 필요할 때 비공개로 이동할 수 있는 목적 기반의 결제 레이어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6. 아키텍처 개요

 

플라즈마는 스테이블코인 트래픽에 맞춰 특별히 조정된 3개의

모듈형 스택으로 구축되었다. 각 레이어는 표준 엔진 API를 통해 통신하므로 한 영역의 업그레이드가 다른 영역을 방해하지 않는다.

 

구성 요소 설명
플라즈마BFT 컨센서스 플라즈마를 보호하는 고성능의 파이프라인 방식 러스트(Rust) 기반 패스트 핫스터프 구현체다. 지분증명(PoS) 메커니즘으로 검증자를 선택하며, 비잔틴 장애 허용(BFT) 합의의 안전성과 낮은 지연 시간의 최종성을 제공한다.
EVM 실행 레이어 실행 클라이언트는 이더리움 상태 머신의 현대적인 러스트 구현체인 레스(Reth)다. 모든 연산 코드(opcode)와 사전 컴파일된 계약(precompile)이 메인넷과 정확히 동일하게 작동하여, 개발자들이 하드햇(Hardhat)이나 메타마스크(MetaMask) 같은 기존 도구를 사용하여 솔리디티(Solidity)나 바이퍼(Vyper) 계약을 배포할 수 있다.
네이티브 비트코인 브릿지 플라즈마는 비트코인을 위한 신뢰 최소화 네이티브 브릿지를 포함한다. 이 브릿지는 실제 비트코인에 1:1로 고정된 크로스체인 대체 가능 토큰인 pBTC를 도입하여 스마트 계약에서 네이티브 BTC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7. 플라즈마BFT 컨센서스 레이어

 

플라즈마BFT는 플라즈마 블록체인을 보호하는 고성능 컨센서스 레이어다. 이는 현대적인 비잔틴 장애 허용(BFT) 합의 알고리즘인 패스트 핫스터프(Fast HotStuff)를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러스트(Rust) 언어로 구현한 것이다. 검증자 선택은 XPL을 스테이킹 자산으로 사용하는 단순화된 지분증명(PoS)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검증자는 블록을 제안하고 투표할 권리를 얻기 위해 XPL을 스테이킹해야 하며, 스테이킹 가중치에 따라 각 위원회에 참여할 확률이 결정된다. 이중 서명이나 다운타임과 같은 악의적인 행동은 예치된 XPL의 소각이 아닌 보상 삭감(slashing)으로 이어진다. 이는 기관의 위험 허용 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설계다. 네트워크는 초기에 소규모의 허가된 검증자 집단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비허가형 스테이킹 및 일반 XPL 보유자들을 위한 위임 스테이킹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작동 방식 설명
지분 증명 검증자는 XPL을 스테이킹하고, 스테이킹 가중치에 따라 무작위로 선택된다.
리더 기반 블록 생성 지정된 리더가 블록을 제안하면 검증자들이 투표한다.
쿼럼 인증서(QC)를 통한 최종성 2/3 이상의 투표를 받으면 QC 체인이 형성되어 결정론적 최종성을 확보한다.
파이프라인 처리 제안, 투표, 확정 등 핵심 기능들을 중첩하여 처리함으로써 높은 처리량을 달성한다.
보상만 삭감 악의적 행위(이중 서명 등) 시 스테이킹된 자산이 아닌 향후 블록 보상을 잃게 된다.

8. EVM 실행 레이어

 

플라즈마의 실행 엔진은 러스트(Rust)로 재구현된 게스(Geth)인 **레스(Reth)**다. 이는 단 하나의 연산 코드(opcode)도 변경하지 않고 패스트 핫스터프(Fast HotStuff) 컨센서스 스택에 통합된다. 이 레이어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상태를 관리하며,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레스(Reth)를 사용하는 이유

• 완전한 EVM 동등성: 솔리디티(Solidity), 바이퍼(Vyper), 허프(Huff)로 작성된 코드를 한 번만 배포하면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다. 하드햇(Hardhat), 파운드리(Foundry), 메타마스크(MetaMask) 등의 도구들이 별도 설정 없이 바로 연결된다.

 

• 러스트(Rust) 수준의 성능 향상: 병렬 상태 읽기, 단계적 동기화, 경량 액터 모델 등을 통해 단일 코어의 한계를 극복한다. 내부 테스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연산 코드는 즉시 컴파일(JIT-compile)되어 연산당 가스 비용을 두 자릿수 비율로 절감했다.

 

• 엔진-API 분리: 컨센서스와 실행 레이어가 독립적으로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결제 체인은 가상 머신(VM)이 개선될 때마다 다운타임을 감당할 수 없다.

 

 

실행 레이어(EL)에서의 트랜잭션 처리 흐름

 

1. 검증자의 컨센서스 과정에서 제안된 블록이 도착한다.

 

2. 레스(Reth)가 트랜잭션을 실행한다.

 

3. 레스(Reth)가 새로운 상태 루트를 반환하고 머클-패트리샤 상태 트라이를 업데이트한다.

 

4. 플라즈마BFT가 상태 루트를 블록 헤더에 서명한다 (즉각적인 결정론적 최종성).

 

5. 실행 노드는 지갑 및 디앱(dApp)을 위해 RPC를 통해 최신 상태를 제공한다.

 

최종성이 결정론적이기 때문에 레스(Reth) 내부에는 포크 선택 로직이 없다. 상태 루트가 수락되면 해당 블록은 되돌릴 수 없다.


9. 네이티브 비트코인 브릿지

 

플라즈마의 네이티브 신뢰 최소화 비트코인 브릿지는 실제 비트코인에 1:1로 고정된 크로스체인 토큰 pBTC를 도입하여 스마트 계약에서 네이티브 BTC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브릿지 입금 주소로 BTC를 보내면, 독립적인 검증자들이 비트코인 풀노드를 운영하며 확인된 트랜잭션을 증명하고 플라즈마에서 동등한 양의 pBTC 발행을 촉발한다.

 

입출금 과정

 

입금(BTC → pBTC)

1. 사용자가 BTC를 플라즈마 입금 주소로 보낸다.

 

2.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입금이 확인되면, 검증자 네트워크가 독립적으로 트랜잭션을 검증한다.

 

3. 검증자들은 플라즈마에서 pBTC 발행을 시작하고 , 사용자는 pBTC를 수령한다.

 

출금(pBTC → BTC)

1. 사용자가 pBTC를 소각하여 출금을 요청한다.

 

2. 검증자들은 pBTC 소각을 확인하고 출금 요청을 독립적으로 검증한다.

 

3. 승인되면, 임계값 서명 방식(TSS)을 사용하여 해당 BTC를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비트코인 트랜잭션에 서명한다.

 

검증자들의 절대다수가 서명하지 않으면 출금은 실행될 수 없으며, 단일 개체가 개인 키 조각을 보유하지 않는다. 모든 증명과 서명은 공개 감사를 위해 온체인에 게시된다. 또한 플라즈마는 주기적으로 비트코인에 상태를 체크포인트하여 자체 BFT 최종성 위에 작업증명(PoW)의 결제 보증을 더한다.


10. 스테이블코인 네이티브 계약

 

플라즈마는 스테이블코인이 범용 체인에 추가된 부가 기능이 아니라 최우선 기본 요소여야 한다는 명확한 원칙하에 구축되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플라즈마는 스테이블코인 사용성을 위해 설계된 프로토콜 운영 계약 세트를 유지 관리한다. 개발자들은 이 계약들을 통해 수수료 없는 거래, 스테이블코인 기반 가스비, 기밀 전송과 같은 개선된 기본 기능을 갖춘 앱을 만들 수 있다.

핵심 모듈 기능
수수료 없는 USD₮ 전송

전용 EIP-4337 페이마스터가 공식 USD₮ 계약의 transfer() 및 transferFrom() 함수 호출을 지원한다. 간단한 신원 확인과 전송량 제한으로 스팸을 방지하며, 가스비는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는 XPL 허용량에서 지급되므로 최종 사용자는 네이티브 토큰 없이 달러를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가스 토큰 프로토콜이 유지 관리하는 ERC-20 페이마스터를 통해 사용자 지정 가스 토큰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USD₮나 pBTC와 같은 화이트리스트에 등재된 ERC-20 토큰을 XPL 대신 가스비로 사용할 수 있다.

 

기밀 결제 급여, B2B 거래,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금액, 수신자 주소, 메모 데이터를 보호하는 선택적 모듈을 구축 중이다. 선택적 공개 증명을 통해 감사 가능성은 유지된다.

 

외부 가스 추상화 및 프라이버시 레이어는 사용자 경험과 보안을 저해할 수 있다. 플라즈마는 이러한 모듈을 직접 관리하여 일관된 동작, 투명한 수수료 보조, 그리고 향후 업그레이드의 원활한 통합을 보장한다.


11. 모듈 #1: 수수료 없는 USD₮ 전송

 

플라즈마는 프로토콜이 운영하는 페이마스터를 통해 직접적인 USD₮ 전송에 대한 가스비를 지원한다. 사용자는 가스 토큰인 XPL 없이 달러를 보낼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은 온체인에서 빠르게 정산되는 무료 은행 송금과 유사하다.

 

• 범위 및 보호 장치: 공식 USD₮ 계약의 transfer() 및 transferFrom() 함수 호출만 지원된다. 스팸을 방지하기 위해 경량 인증과 지갑별 전송량 제한이 적용된다. 자금은 재단이 관리하는 사전 할당된 XPL 허용량에서 제공된다.

 

• 호환성: EIP-4337 기반의 스마트 계정 및 EIP-7702를 통해 업그레이드된 일반 계정(EOA)과 호환된다. 모든 EVM 지갑에서 지원 여부와 사용량 카운터를 표시할 수 있다.

 

• 중요성: 일상적인 결제와 소액 결제에서 수수료 마찰이 사라진다. 개발자들은 자체 페이마스터를 운영할 필요가 없어진다.

 

 

처리 흐름

 

사용자 지갑 → 프로토콜 페이마스터 → 검증자 및 멤풀 → EVM 실행 → 플라즈마BFT 최종성 → 수신자 지갑


12. 모듈 #2: 사용자 지정 가스 토큰

 

플라즈마는 사용자가 USD₮와 pBTC를 시작으로 승인된 ERC-20 토큰으로 네트워크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XPL을 보유하지 않아도 수수료를 시세에 맞게 책정, 징수 및 정산하는 온체인 페이마스터를 운영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이 단순화되고 채택이 개선된다.

 

사용자들은 달러나 BTC만 가지고도 즉시 거래를 시작할 수 있으며, 온램프 및 커스터디 서비스는 자금 흐름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주류 결제를 가로막는 '두 개의 토큰' 장벽을 제거한다.

 

작동 단계

단계 과정
1단계: 수수료 토큰 선택 지갑에서 USD₮ 또는 pBTC를 선택한다.
2단계: 오라클 가격 책정 선택된 토큰으로 거래 비용이 책정된다.
3단계: 페이마스터 에스크로 토큰이 잠기고 거래가 지원(sponsored)된다.
4단계: 검증자 실행 거래가 블록에 포함되고 수수료는 XPL로 정산된다.

 

설계 제약 및 제어

• 최소 유동성과 안정적인 가격을 가진 수수료 토큰만 허용 목록에 포함된다.

 

• 남용을 완화하기 위해 지갑별, 블록별 한도가 있으며, 오라클 가격 불일치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서킷 브레이커가 작동한다.

 

• 우선 수수료는 XPL 등가 시세로 책정되어 검증자의 블록 포함 인센티브가 유지된다.


13. 모듈 #3: 기밀 결제

 

플라즈마는 USD₮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위해 금액, 수신자 주소, 메모 데이터와 같은 민감한 전송 데이터를 보호하도록 설계된 프라이버시 보존 전송 모듈을 개발하고 있다. 많은 기업에게 프라이버시 부재는 퍼블릭 블록체인 채택의 결정적인 걸림돌이었다. 플라즈마의 접근 방식은 이들에게 폐쇄적이고 허가된 시스템으로 돌아가지 않으면서도 은행 수준의 기밀성으로 디지털 달러를 이동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한다.

 

작동 방식 사용자는 표준 ERC-20 전송을 감싸는 기밀성 모듈을 통해 전송을 시작한다. 이 모듈은 영지식 증명(ZK proofs)을 사용하여 온체인에 평문 데이터를 노출하지 않고 정확성을 검증한다. 수신자는 뷰 키(view key)나 증명 내보내기를 통해 감사 기관이나 규제 기관에 세부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설계 원칙

• 선택적 프라이버시(Opt-in Privacy): 모든 전송에 기밀성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기관이 급여, B2B 거래 또는 소비자 거래를 처리할 때는 이 옵션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 네이티브 통합(Native Integration): 외부 믹서나 프라이버시 브릿지와 달리, 이 모듈은 프로토콜이 직접 운영하여 지갑과 디앱 전반에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 감사 준비(Audit Ready): 선택적 공개 기능은 기업이 민감한 거래 상대방이나 거래 흐름을 노출하지 않고도 보고 기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14. 플라즈마 기반 개발

 

플라즈마의 실행 레이어는 완전한 EVM 호환성을 갖추고 있어 개발자들은 이미 익숙한 기술 스택을 사용하여 개발할 수 있다. 차이점은 가스 없는 전송, 사용자 지정 수수료 토큰, 기밀 결제와 같은 스테이블코인 특화 기능들이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 체인에 통합되어 있다는 점이다.

 

개발자 스택

 

• 앱 & 계약: 솔리디티(Solidity), 바이퍼(Vyper), 허프(Huff)

 

• 개발 도구: 하드햇(Hardhat), 파운드리(Foundry), 트러플(Truffle), 리믹스(Remix)

 

• 지갑: 메타마스크(MetaMask), 월렛커넥트(WalletConnect)

 

• RPC & 노드: 레스(Reth) EVM, 표준 JSON-RPC

 

• 프로토콜 모듈: 수수료 없는 USD₮, 사용자 지정 가스 토큰, 기밀 결제

 

• 컨센서스: 플라즈마BFT, 결정론적 최종성

 

• 브릿징: 네이티브 비트코인 브릿지, 레이어제로 OFT

 

• 데브옵스: CI/CD 파이프라인, 테스트 프레임워크, 모니터링


15. 핵심 스테이블코인 결제 활용 사례

 

플라즈마는 오늘날 금융 시스템의 수수료, 지연 시간, 프라이버시 격차로 인해 실패하는 결제를 목표로 한다. 각 활용 사례는 플라즈마의 네이티브 모듈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 해외 송금: 플라즈마는 중개자 없이 저비용의 즉각적인 국가 간 송금을 가능하게 하여, 전통적인 방식보다 훨씬 저렴하고 빠르게 글로벌 자금 이동을 구현한다.

 

• 소액 결제: 플라즈마에서의 USD₮ 전송 수수료는 0달러이므로, 인터넷 네이티브 경제를 위한 자동화된 저비용 소액 결제를 촉진하여 기존 결제 시스템의 실행 가능성 문제를 극복한다.

 

• 글로벌 지급: 기업들이 전 세계 직원 및 파트너에게 즉각적이고 국경 없는 지급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는 특히 적절한 은행 서비스 접근이 어려운 신흥 시장의 근로자들에게 혜택을 준다.

 

• 가맹점 결제: 전 세계 가맹점들이 중개자 없이 직접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여 즉각적인 정산, 거래 수수료 절감, 글로벌 시장 확대를 보장한다.

 

• 달러 접근성: 자본 통제가 심하거나 인플레이션이 높은 지역의 사람들에게 미국 달러에 대한 글로벌하고 무허가적인 접근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가치 저장 수단이 되고 국제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 무허가 뱅킹: 스테이블코인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저축, 소비, 송금, 이자/수익 창출과 같은 필수 은행 기능에 대한 개방적인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의 배타적 성격을 극복한다.


16. 플라즈마 원

 

플라즈마 원(Plasma One)은 플라즈마 위에 구축된 소비자 앱으로,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달러로 저축, 소비, 수익 창출을 통합한다. 이 앱은 스테이블코인 네이티브 네오뱅크 및 카드로 자리매김하며, 플라즈마의 수수료 없는 USD₮ 전송 기능뿐만 아니라 유통 채널과 주요 파트너들을 활용한다.

 

• 수익을 내면서 소비: USDT 잔액에서 이자가 발생하는 동안에도 직접 결제가 가능하다. (이자율 10%)

 

• 4% 캐시백: 실물 또는 가상 카드로 구매 시 최대 4%를 리워드 등급에 따라 지급받는다.

 

• 수수료 없는 USD₮ 전송: 앱 수수료 없이 디지털 달러를 즉시 보낼 수 있다.

 

• 150개국 이상 사용: 150개국 이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비자(Visa) 가맹점에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 하나의 앱, 하나의 카드: 빠른 가입 절차, 즉시 발급되는 가상 카드, 선택적인 프리미엄 실물 카드를 제공한다.


17. XPL: 네이티브 토큰

 

XPL은 플라즈마를 보호하고 검증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기본 자산이다. 이더리움에서 ETH가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역할을 플라즈마에서 수행한다. 사용자는 프로토콜 페이마스터를 통해 USD₮나 pBTC로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지만, 내부적으로 검증자들은 XPL로 보상을 받는다.

용도 설명
컨센서스 및 스테이킹 검증자들은 플라즈마BFT에 참여하고 보상을 얻기 위해 XPL을 스테이킹한다. 선택은 스테이킹 가중치에 따라 이루어지며 단순화된 지분증명(PoS) 모델을 따른다. 악의적인 행동은 스테이킹된 자본이 아닌 보상 삭감으로 이어진다.
네트워크 사용 사용자가 지갑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선택하더라도 수수료는 궁극적으로 XPL로 정산된다. 페이마스터가 환전을 처리하고 검증자에게 지불한다. XPL은 또한 검증자 인센티브의 단위이며, 향후 거버넌스의 기준이 될 수 있다.

18. XPL 토크노믹스

 

XPL의 초기 공급량은 메인넷 베타 출시 시점에 100억 개다.

 

토큰 분배

출처: 플라즈마(Plasma)

항목 비율 토큰 수량(XPL) 베스팅(Vesting) 조건
퍼블릭 세일 10% 10억 비(非)미국 지역은 메인넷 베타 출시 시 잠금 해제, 미국은 2026년 7월 28일 잠금 해제.
생태계 및 성장 40% 40억 총 공급량의 8%가 메인넷 베타 출시 시 유통된다. 나머지 32%는 36개월에 걸쳐 선형적으로 분배된다.
25% 25억

1/3은 12개월 차에 잠금 해제, 나머지 2/3는 13개월부터 36개월까지 선형적으로 분배된다.

 

투자자 25% 25억 팀과 동일한 일정.

19. XPL 공급 일정

XPL 토큰의 잠금 해제 일정은 각 그룹별로 상이하며, 특히 생태계 및 성장 물량의 초기 유동성 공급이 특징이다.

 

그룹별 잠금 해제 시간표

 

• 퍼블릭 세일 (10%): 비(非)미국 지역은 출시 시점에 잠금 해제, 미국은 2026년 7월 28일에 잠금 해제된다.

 

• 생태계 및 성장 (40%): 총 공급량의 8%가 출시 시점에 잠금 해제된다. 나머지 32%는 36개월에 걸쳐 매월 분배된다.

 

• 팀 (25%): 1/3은 12개월 차에 잠금 해제되고, 나머지 2/3는 13개월부터 36개월까지 매월 분배된다.

 

• 투자자 (25%): 팀과 동일한 일정을 따른다.

 

 

12개월 이후 월별 예상 유통량

 

• 생태계 및 성장 베스팅: 매월 초기 공급량의 약 0.8889% (8,890만 XPL).

 

• 팀 베스팅: 매월 약 0.6944% (6,940만 XPL).

 

• 투자자 베스팅: 매월 약 0.6944% (6,940만 XPL).

 

• 총합 베스팅: 매월 약 2.278% (2억 2,780만 XPL).


20. 강세 전망

 

플라즈마는 스테이블코인 사용의 두 가지 가장 큰 마찰점인 별도 자산으로 지불하는 가스비와 눈에 띄는 거래당 수수료를 제거하는 결제 중심 체인을 출시한다. 네이티브 제로 수수료 USD₮ 전송, USD₮ 또는 BTC로 가스비를 지불하는 기능, EVM 호환성, 그리고 빠른 BFT 최종성은 사용자 온보딩을 단순화하고 일상적인 전송을 '현금처럼' 느끼게 만든다.

 

USD₮와의 지원 및 연계, 그리고 출시 첫날의 풍부한 유동성은 일반적인 신규 L1보다 콜드 스타트 문제를 크게 완화한다. 만약 테더(Tether)가 플라즈마에서 네이티브로 발행되고 주요 거래소 및 지갑이 이 네트워크에서의 입출금을 지원한다면, 사용자들은 기존 네트워크보다 낮은 마찰로 가치를 이동할 수 있다.

 

플라즈마의 성공 열쇠는 총 예치 자산(TVL)뿐만 아니라 유통이다. 플라즈마의 파트너 목록은 법정화폐 온/오프램프, 지급 API, 그리고 옐로 카드(Yellow Card), 비리라(BiLira)와 같은 지역 통합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커브(Curve), 에테나(Ethena), 펜들(Pendle)과 같은 디파이(DeFi) 플레이어들은 자본을 온체인에 유지시키는 유동성 및 수익률 기반을 제공하며, 바이낸스 언(Binance Earn) 파트너십은 리테일 사용자의 원활한 온보딩을 돕는다.

 

경제적으로 이 모델은 간단한 전송에 대해서는 전송량 제한을 두어 '무료'로 제공하고, 복잡한 호출에 대해서는 스테이블코인으로 수수료를 받아 내부적으로 XPL로 전환하는 경우 지속 가능하다. EIP-1559와 유사한 소각 메커니즘은 초기에 약 5%에서 시작하여 점차 3%로 감소하는 검증자 인플레이션을 상쇄할 수 있어, 실질적인 사용량이 있다면 장기적인 희석을 줄일 수 있다.


21. 약세 전망

 

플라즈마는 많은 기대를 받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에 모든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주목받는 것은 당연하다. 이는 구축된 기대와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는 상당한 실행 압박을 가져온다. 플라즈마는 여전히 파트너를 하나씩 확보하며 유통망을 넓혀야 하고, 설계뿐만 아니라 실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처리량과 지연 시간을 증명해야 한다. 결제 분야의 실행 위험(POS, 지불 거절, 외환, 현지 파트너 등)은 리스크를 증가시키고 거래량을 둔화시킬 수 있다.

 

'수수료 제로' 약속은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 이 전송들은 페이마스터를 통해 보조금이 지급되므로 비용은 사용량에 따라 증가한다. 이 혜택은 직접 전송(transfer/transferFrom)에 한정되며,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신원 확인과 지갑별 한도가 필요한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제공된다. 무료가 아닌 상호작용은 수수료 추상화에 의존하여 운영상의 종속성을 야기한다.

 

추가적인 위험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서 비롯된다: (1) 출시 기간 동안 소수의 알려진 검증자 집단에 통제력이 집중되는 허가형 검증자 단계는 탈중앙화를 감소시킨다. (2) 스테이킹 자본이 아닌 보상만 삭감하는 정책은 자동적인 경제적 처벌을 약화시킨다. (3) 연합형 BTC 브릿지(pBTC)는 검증자 쿼럼에 의해 보호되는데, 이는 검증자의 가용성, 증명/서명의 정확성, 그리고 서킷 브레이커 및 전송량 제한과 같은 운영 안전장치에 대한 의존성을 추가한다.


22. 추가 촉매제

강세 전망 약세 전망
채택 증명: 결제 및 램프 서비스가 대규모로 활성화된다. 하나의 급여/송금 파트너가 반복적인 급여 지급을 온체인에서 처리함으로써 비투기적인 기본 거래량을 창출한다 . 실사용 채택 부진: 스테이블코인은 꾸준히 성장했지만, 주로 디파이(DeFi)에서 사용되며 전 세계 결제 시장의 작은 일부만을 차지한다 .
플라즈마 원(Plasma One): 비암호화폐 사용자들이 USD₮ 결제, 카드 소비, 저축에 쉽게 참여하도록 돕는 유통 엔진 역할을 한다. (4% 캐시백 및 10% 예금 이자) 탈중앙화 계획: 허가형 검증 단계가 장기화되거나 위임 기능을 개방하는 일정이 불분명하면 우려와 비판을 야기할 수 있다.
규제 순풍: 명확해진 미국/유럽 연합의 프레임워크는 기업의 시스템 도입 및 통합을 촉진할 수 있다.  

23. 자료

 

• 플라즈마 웹사이트: https://www.plasma.to/

 

• 플라즈마 대시보드: https://app.plasma.to/

 

• 플라즈마 문서: https://docs.plasma.to/docs/

 

• 플라즈마 블로그: https://www.plasma.to/insights

 

• 플라즈마 엑스(X): https://x.com/PlasmaFDN

 

• 플라즈마 디스코드: https://discord.com/invite/plasmafdn

 

• 디파이라마(DefiLlama): https://defillama.com/

 

• 듄 애널리틱스 (@sealaunch): https://dune.com/sealaunch/plasma-deposits

 

• 듄 애널리틱스 (@hashed_official): https://dune.com/hashed_official/plasma

 

• 브랜드 비주얼: https://www.plasma.to/brand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66,535,120 (+2.07%)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6,149,602 (+2.11%)
XRP 로고 XRP (XRP)
4,181 (+1.93%)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03 (0.00%)
BNB 로고 BNB (BNB)
1,458,435 (+1.14%)
Solana 로고 Solana (SOL)
315,801 (+3.92%)
USDC 로고 USDC (USDC)
1,402 (-0.01%)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361.4 (+6.25%)
TRON 로고 TRON (TRX)
478.5 (+0.98%)
Cardano 로고 Cardano (ADA)
1,197 (+2.62%)
왼쪽
2025 10월  2(목)
오른쪽
진행기간 2025.10.02 (목) ~ 2025.10.03 (금)

29명 참여

정답 0%

오답 100%

진행기간 2025.10.01 (수) ~ 2025.10.02 (목)

46명 참여

정답 76%

오답 24%

진행기간 2025.09.30 (화) ~ 2025.10.01 (수)

45명 참여

정답 82%

오답 18%

진행기간 2025.09.29 (월) ~ 2025.09.30 (화)

43명 참여

정답 77%

오답 23%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