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안드리센 "AI 주도권, 美·中 냉전 재현…중국 영향력 저지해야"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안드리센 호로위츠 공동 창업자 마크 안드리센이 AI 기술 주도권 경쟁을 냉전 수준의 미·중 대결로 평가하며, 중국의 세계관 확산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AI가 미래 사회의 통제층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안드리센

안드리센 "AI 주도권, 美·中 냉전 재현…중국 영향력 저지해야" / TokenPost AI

실리콘밸리 대표 벤처캐피털 안드리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의 공동 창업자 마크 안드리센(Marc Andreessen)이 인공지능(AI) 분야의 글로벌 주도권 경쟁을 20세기 후반 미국과 소련 간 벌어졌던 냉전에 비유하며, 중국의 영향력 확대 시도를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드리센은 최근 잭 알트먼(Jack Altman)이 진행하는 팟캐스트 '언캡드(Uncapped)'에 출연해 AI 기술의 향후 방향성과 국가 간 전략적 충돌 가능성에 대해 심도 깊은 견해를 밝혔다. 이날 인터뷰에서 그는 "지금 AI는 두 마리 말이 달리는 경주"라며 "상황의 전개 방식이 지난 세기 미국과 소련 간 냉전을 연상시킨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중국의 세계관이 국제 질서에 스며들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AI 모델이 각국의 정치적, 사회적 가치 체계에 맞춰 설계될 것이며, 중국은 자국의 사회 조직 원칙을 전 세계에 투영하려는 '야망'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선, 글로벌 영향력 싸움이라는 설명이다.

이어 안드리센은 AI가 미래 사회의 '통제 레이어'가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인공지능은 의료, 교육, 교통, 법률 등 핵심 인프라에 접근하기 위한 주요 창구가 될 것이며, 결국 이는 인간의 일상 전반에 작동하는 '인터페이스 계층'이 된다는 전망이다.

이와 같은 분석은 AI 개발 주도권을 놓고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이 격화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나온 것으로, AI가 단순한 산업 기술을 넘어 국제 정세와 정치 철학까지 규정할 수 있는 도구로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최근 중국 AI 기업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선 기술 패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