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 또 관세 연기… '해방의 날' 8월 1일도 불투명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관세 발효일을 재차 연기해 정책 일관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반복된 유예 조치가 글로벌 시장에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또 관세 연기… '해방의 날' 8월 1일도 불투명 / TokenPost Ai

트럼프, 또 관세 연기… '해방의 날' 8월 1일도 불투명 / TokenPost Ai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해방의 날(Liberation Day)' 관세 도입 시점을 또 한 차례 연기했다. 본래 이중 자릿수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었던 국가별 수입관세는 새로운 발효일로 8월 1일이 명시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 날짜조차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한 발 물러선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같은 날 SNS에서는 "더 이상의 연장은 없다"며 정반대의 메시지를 남겨 정책 일관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이번 관세 부과는 지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발표한 정책으로, 미국 내 제조업 유치를 촉진하고 재정 수입을 늘리는 한편 교역 상대국과의 협상에서 *지렛대*로 활용하겠다는 취지로 추진됐다. 당초 7월 9일 시행 예정이었으나 일단 유예됐고, 이번이 두 번째 연기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관세 조치가 미국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리고, 교역 위축을 통해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백악관은 주요 교역국들과 협상을 이어가며 관세 적용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으로는 이미 별도의 수입세를 부과하는 조치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외제차 대부분에 적용되는 25%의 고율 관세와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50%, 그리고 다수 해외제품에 부과되는 10%의 추가 관세가 있다.

이번 관세 정책의 반복된 연기와 혼선은 시장과 기업들로 하여금 *불확실성*을 한층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은 산업군에서는 전방위적인 공급망 점검과 대응 전략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연기가 마지막일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8월 1일로 예정된 새로운 관세 시행 여부가 글로벌 시장의 반응과 미국 경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글로벌 유동성 레이더] 거래소서 하루 1005BTC 빠져나가…바이낸스·비트파이넥스 '순유출 투톱'

[글로벌 유동성 레이더] 거래소서 하루 1005BTC 빠져나가…바이낸스·비트파이넥스 '순유출 투톱'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