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통신망을 노린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피의자로 지목된 중국 국적의 외국인이 해킹 혐의로 구속영장 실질심사를 받게 됐다. 해당 범행은 불법 통신 장비를 이용해 KT 이용자 정보에 접근, 무단 결제를 시도한 정황이 드러난 사건이다.
경기남부경찰청은 9월 18일, 중국 국적 남성 A씨가 법원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위해 수원영통경찰서 유치장에서 출석했다고 밝혔다. A씨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KT 이용자들의 휴대전화를 해킹, 그들의 결제 정보를 도용해 모바일 상품권이나 교통카드 등을 부정 결제한 혐의를 받고 있다.
수사 결과에 따르면 A씨는 지난 8월 말부터 9월 초까지 불법으로 제작된 소형 기지국 장비를 승합차에 장착한 채 이동하며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이동식 기지국은 '스팅레이(Stingray)'라 불리는 장비로, 휴대전화 신호를 가로채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KT 통신망만 표적 삼아 특정 지역 이용자들의 통신 데이터를 탈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무선 신호를 조작해 개별 단말기에 침입하는 방식은 최근 몇 년 사이 사이버 범죄 수법이 정교해지면서 국내에서도 점차 늘고 있는 유형이다. 한국은 비교적 통신 보안 수준이 높은 편이나, 특정 통신사망에 집중된 공격이 반복되면 기업 신뢰도와 이용자 불안이 함께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통신 장비의 보안 취약점을 노린 범죄가 반복되고 있는 만큼, 통신사와 당국이 협력해 특정 지역 내 비정상적인 통신 신호 이동에 대한 감지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무단 결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거래 알림 시스템 강화 등 소비자 보호 대책도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 같은 해킹 수법은 기술적으로 진화하고 있어, 향후에는 보다 정교한 사이버 범죄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보안 기술의 대응뿐 아니라 국제 공조 수사 체계도 시급히 정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