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불리시, 1,946조 원 거래소 인프라 '솔라나(SOL)'로 전면 이전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는 전 인프라를 솔라나 블록체인으로 이전하며, 글로벌 금융 인프라 내 솔라나의 입지를 강화했다. 빠른 처리 속도와 확장성이 핵심 채택 배경으로 작용했다.

 불리시, 1,946조 원 거래소 인프라 '솔라나(SOL)'로 전면 이전 / TokenPost Ai

불리시, 1,946조 원 거래소 인프라 '솔라나(SOL)'로 전면 이전 / TokenPost Ai

솔라나(SOL)가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져가고 있다. 최근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Bullish)가 자사 핵심 인프라를 솔라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전면 이전한다고 발표하면서, 솔라나 생태계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특히 이번 통합은 솔라나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구성돼, 결제, 커스터디, 거래, 정산 등 거래소의 주요 기능 전반에 걸쳐 솔라나 블록체인을 활용하게 된다.

불리시는 지금까지 누적 거래량 1조 4,000억 달러(약 1,946조 원)를 기록한 거대 거래소다. 이번 결정은 단순한 파트너십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전통적인 결제 네트워크를 대신해 솔라나를 인프라로 채택한 배경에는 시스템의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 그리고 확장성에 대한 강한 확신이 깔려 있다. 이로써 솔라나는 단순히 밈코인이나 NFT 플랫폼으로서가 아니라, 글로벌 금융 인프라의 대안으로 본격적인 입지를 다지게 됐다.

불리시는 홍콩·독일·지브롤터 등 주요 금융 허브에서 운영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이번 전략적 이동은 제도권 시장에서도 솔라나가 점차 신뢰받고 있음을 방증한다. 실제로 파이서브(Fiserv), R3 등 이미 다양한 전통 금융 기업들도 솔라나 기반 기술을 도입했으며, 지난해에는 페이팔(PayPal)의 스테이블코인 PYUSD 또한 솔라나에서 발행된 바 있다.

이번 불리시 통합을 계기로 솔라나는 이더리움(ETH)이나 SWIFT 시스템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올라섰다. 주요 기관의 커스터디와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을 실증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또한 이 같은 통합 움직임은 솔라나 생태계 내 스테이블코인 사용량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결과적으로 SOL 토큰의 유틸리티 확장과 가격 상승 기대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시점 기준으로 SOL은 153.79달러(약 21만 3,749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기준 1.95% 상승했다. 거래량도 42억 4,000만 달러(약 5조 8,136억 원)로 4% 이상 증가하며 시장의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이번 제휴는 단순한 기술 이전이 아닌, 탈중앙화 인프라가 실제 금융 산업에 접목되는 중요한 사례다. 솔라나의 기술력과 실용성이 불리시와 같은 대형 기관의 선택을 받았다는 점에서, 암호화폐 업계의 구조적 전환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다사랑

09:38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