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론 머스크가 설립한 인공지능 기업 xAI가 개발한 대화형 AI ‘그록(Grok)’이 암호화폐 트레이더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X(구 트위터)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연결돼 커뮤니티 정서와 군중 내러티브 변화를 빠르게 포착하는 이 도구는, 특히 밈코인과 알트코인 중심의 단기 매매 전략에서 유용한 보조 지표로 활용된다.
기존 트레이더들이 디스코드 채팅방이나 인플루언서의 포스트, 늦은 뉴스 알림 등에 의존하던 것과 달리, 그록은 X에서 벌어지는 대중의 대화 흐름을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최근에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특정 토큰에 대한 언급량이 급증하거나, 감성적인 단어가 반복 사용될 경우 이를 조기에 감지해 가격 움직임을 예측하는 기반 데이터로 삼으려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일부 개발자들은 그록을 챗GPT(ChatGPT)와 연동해 매매 신호를 ‘포착하는 도우미’로 사용하는 실험을 이미 진행 중이다. 암호화폐 포럼에서는 “그록이 인증 사용자들 사이에서 플로키(FLOKI)에 대한 반복 언급을 포착한 직후, 가격 상승이 시작됐다”는 경험담도 공유됐다. 그록은 차트를 읽거나 자동 거래를 실행하지는 않지만, 시장의 ‘기류’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린다.
그록의 특이점은 차트 기반 분석이 아닌 ‘감정 섭취’ 방식이라는 점이다. 수천 개 게시물 속에서 군중 정서를 정제해 내며, 대부분의 데이터가 지연되는 기존 분석 도구와는 달리 실시간성이 결정적인 장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밈코인이나 소규모 알트코인처럼 펀더멘털보다는 커뮤니티 정서에 가격이 좌우되는 자산에서 그 가치가 빛난다.
예를 들어, 지난 3월 13일 머스크가 페페 캐릭터 밈을 X에 올리자 푸펜(PEPE) 암호화폐 가격이 곧바로 12.2% 상승하며 0.000009달러(약 0.012원)를 돌파했다. 이 현상은 그 자체로 인과 관계를 단정할 수는 없지만, 밈코인 가격이 사회적 모멘텀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는 기존 커뮤니티 채널이나 뉴스 플랫폼을 통해 알려졌을 때는 이미 진입 시점을 놓친 경우가 태반이다.
그록은 X의 프리미엄 플러스(Premium+) 구독자에게 제공되며, 챗GPT와 달리 외부 데이터가 아닌 X 내부 실시간 대화 흐름에 직접 접근한다. 이를 기반으로 플랫폼 내에서 떠오르는 트렌드와 여론 변화를 감지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구조다. 암호화폐 시장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환경에서, 그록은 ‘시그널 헬퍼’로써 존재감을 점점 키워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