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팟캐스트 Ep.56] 트론, USDT 의존 심화사상 최대 매출 이면의 리스크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이번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에서는 메사리리서치 보고서를 기반으로, 트론(Tron) 네트워크의 2025년 1분기 주요 지표와 구조적 변화를 심층 분석했습니다. 시가총액과 달러 기준 매출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TRX 기준 수익 감소와 TVL(총예치자산) 급감이라는 이면도 함께 짚었습니다.

 [팟캐스트 Ep.56] 트론, USDT 의존 심화사상 최대 매출 이면의 리스크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 저희가 좀 깊게 살펴볼 내용은요, 토큰포스트 7월 4일자 기사로도 나왔던 메사리리서치의 보고서입니다. 바로 트론의 2025년 1분기 현황인데요. 전반적으로 보면 지표들이 꽤 좋아 보이는데 또 자세히 뜯어보면 흥미로운 변화들도 있더라구요. 과연 트론이 이 USDT 전송 네트워크라는 아주 강력한 기반 위에서 계속 성장할 수 있을지 한번 같이 자세히 들여다보시죠. 우선 딱 눈에 띄는 것 역시 그 재무 성과 같애요. 2025년 1분기에 시가총액이 전 분기 대비 한 3.5% 늘어서 227억 달러를 기록했고요. 특히 그 매출 매출이 7억 6020만 달러로 네트워크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어요. 이게 전 분기보다 2.7% 늘어난 건데 음 이 정도면 상당히 인상적인 거 아닌가요

진행자
네, 그렇죠. 달러 기준으로만 보면 뭐 분명히 성공적인 분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근데 여기서 좀 주목할 점이 있어요. 바로 TRX 토큰 공급량의 변화인데요. 이전까지는 계속 디플레이션 상태였거든요. 그러니까 토큰 수가 줄어드는 추세였는데 이번 1분기에는 순환 공급량이 무려 10%나 늘면서 인플레이션 상태로 전환됐습니다.

토큰포스트
갑자기 인플레이션으로요 디플레이션에서

진행자
근데 이게 단순히 뭐 토큰에 더 발행했다. 이런 게 아니구요. 그 USDD 2.0 마이그레이션 과정에서 담보로 묶여있던 TRX가 풀리면서 발생한 일종의 회계상 변화라는 점이 중요해요. 총 공급량 자체가 늘어난 건 아니라는 거죠.

토큰포스트
아 회계 방식의 변화다

진행자
그리고 트론의 수익 모델이 거래 수수료로 받은 TRX를 소각하는 방식이잖아요.

토큰포스트
네, 그렇죠.

진행자
근데 흥미롭게도 달러 기준 매출은 방금 말씀하신 대로 사상 최고치인데 TRX토큰 가격이 좀 하락하면서 TRX 기준으로 본 수익은 오히려 전분기보다 한 10.8% 정도 감소했습니다.

토큰포스트
와 그러니까 겉으로 보이는 공급량 증가가 실제 가치 희석은 아니고 또 달러 매출은 최고인데 TRX 기준 수익은 줄였다니 아 이거 참 아이러니하네요. 투자자나 사용자 입장에선 좀 헷갈릴 수도 있겠어요.

진행자
네 충분히 그럴 수 있죠.

토큰포스트
그럼 디파이 쪽은 어땠습니까? 이쪽은 분위기가 좀 달랐다고 들었는데요.

진행자
디파이 분야는 좀 결과가 엇갈렸습니다. 그 총 예치자산 TVL이라고 하죠. 이게 달러 기준으로 전분기 대비해서 36.7%나 크게 줄었어요. 47억 달러가 됐는데

토큰포스트
와 36%나요? 엄청 줄었네요.

진행자
네 그래서 전체 네트워크 중에서 티비의 순위도 3위에서 5위로 좀 내려앉았습니다.

토큰포스트
TVL이 그렇게 줄었다는 건 좀 자금이 빠져나갔다는 신호 같은데, 근데 또 다른 지표는 괜찮았다구요.

진행자
그게 또 재미있는 부분인데요. TVL은 이렇게 줄었지만 탈중앙화 거래소 그러니까 DEX의 일일 거래량은 오히려 전 분기 대비 14.2% 증가했어요.

토큰포스트
오 거래량은 늘었다구요.

진행자
특히 그 SUN V3라는 특정덱스가 있는데, 여기가 전체 거래량의 거의 90% 가까이 89.4%를 차지하면서 아주 강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니까 뭐 TVL 돈은 좀 빠졌지만 실제 사용 거래 자체는 더 활발했다. 뭐 이렇게 해석해 볼 수 있겠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자금 예치는 줄었는데 거래는 활발했다. 뭔가 사용자 패턴의 변화가 있는 건지 좀 지켜봐야겠네요. 그리고 트론 하면 사실 스테이블 코인이잖아요.

진행자
아 네 빼놓을 수 없죠 정확합니다. 트론 생태계의 뭐랄까 심장 같은 존재는 여전히 스테이블 코인이고 그중에서도 USDT입니다. 트론 네트워크 위에 있는 스테이블 코인 시가총액 중에서 USDT 비중이 무려 99.3%예요.

토큰포스트
99.3% 거의 전부네요. 그냥

진행자
네 거의 다죠 그 규모가 657억 달러인데 이것도 전분기 대비 13.9%나 증가했습니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전 세계에서 유통되는 모든 USDT의 거의 절반 45.9%가 지금 트론 위에 있다는 뜻입니다.

토큰포스트
야 진짜 USDT 전용 고속도로라는 말이 딱 맞네요.

진행자
그렇죠. 그리고 일일 평균 USDT 전송량도 꾸준히 늘어서 19억 달러를 기록했구요. 전 분기 대비 한 3.3% 증가했습니다. 다만 이제 네트워크 전체 사용량을 보면 매일 활동하는 그 지갑 주소 수 활성 주소는 240만 개로 6.5% 늘긴 했는데 새로 만들어진 주소라던가 전체 거래 건수는 오히려 약간 줄어드는 고런 훈제된 양상도 보이기는 합니다.

토큰포스트
USDT의 의존도가 정말 뭐 절대적이네요. 이게 트론한테는 가장 강력한 무기이면서 또 동시에 또 어깨가 무거운 부분이 될 수도 있겠어요. 이런 상황에서 좀 생태계를 다각화하려는 다른 노력들은 없었나요? 파트너십이라던가 기술 개발 같은 거요

진행자
네 그런 노력도 꾸준히 하고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동성 공급업체인 윈터뮤트(Wintermute)나 데이터 분석회사 난센(Nansen) 또 스테이킹 서비스 업체 킬른(Kiln) 같은 좀 비중 있는 기업들하고 파트너십을 맺었어요. 특히 윈터뮤트와의 협력은 TRX 토큰 거래를 좀 더 원활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걸로 보고 있구요. 기술적으로는 그 USDD 스테이블 코인 2.0 버전을 출시했고 특정 조건에서는 가스비 없이 거래할 수 있게 지원한다거나 또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스마트 월렛 도입 같은 업데이트들이 있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아 USDD 2.0도 나왔군요. 탈중앙화 수준은 어떤가요

토큰포스트
가끔 보면 소수의 검증인이 네트워크를 좌우하는 거 아니냐 이런 우려도 나오잖아요.

진행자
트론은 위임 지분 증명 DPoS 방식을 쓰는데요. 27명의 선출된 슈퍼 대표 SR이라고 부르죠 이들이 블록 생성을 담당합니다. 숫자가 좀 적어 보일 수도 있는데, 현재 후보자가 397명이나 경쟁 중이구요. 특정 세력이 투표 지분의 10% 이상을 아직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은 뭐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토큰포스트
아 후보는 많군요.

진행자
네 다만 이제 전체 노드 그러니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컴퓨터들의 한 20% 정도가 미국에 있다는 점은 뭐 지정학적인 리스크로는 고려해 볼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스테이킹 그러니까 TRX를 예치하고 보상받는 참여는 스테이크 2.0이라는 새로운 메커니즘 도입 이후에 좀 늘어서요 현재 총 430억 개의 TRX가 묶여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전반적으로 보면 뭐 매출 신기록 세우고 USDT 제국은 더 공고해졌고 이런 성과가 있지만 동시에 TVL은 줄고 티알엑스 기준 수익은 하락하는 그런 과제도 안고 있는 상황이네요.

진행자
네, 그렇죠.

토큰포스트
2025년 로드맵 보니까 네트워크 성능 개선이나 경제 모델 발전 같은 계획들이 있던데 앞으로가 정말 중요해 보이긴 합니다.

진행자
맞습니다. 이번 1분기 성과는 분명 인상적이긴 한데요. 결국 질문은 이걸로 귀결되는 것 같아요. 트론 생태계가 지금처럼 USDT 전송이라는 이 단일 기능에 대한 의존도가 굉장히 높은데 이걸 가지고 과연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할 수 있을까? 그리고 또 최근에 발표된 여러 파트너십들 있잖아요. 이런 것들이 정말 스테이블 코인을 넘어서서 생태계의 실질적인 다각화로 이어질 수 있을까? 이 부분을 좀 면밀히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토큰포스트
이상으로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토큰포스트랩스, 제타큐브와 함께 ‘NANODC 구독 에디션’ 출시… AI 범용 시대 연다

토큰포스트랩스, 제타큐브와 함께 ‘NANODC 구독 에디션’ 출시… AI 범용 시대 연다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낙뢰도

21:45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