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렛츠봉크, 하루 수익서 펌프펀 제치며 밈코인 판도 흔들어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2

솔라나 기반 밈코인 플랫폼 렛츠봉크가 하루 수익에서 펌프펀을 크게 앞서며 시장 판도에 변화를 일으켰다. 봉크 커뮤니티의 결집과 활발한 소셜 캠페인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렛츠봉크, 하루 수익서 펌프펀 제치며 밈코인 판도 흔들어 / TokenPost AI

렛츠봉크, 하루 수익서 펌프펀 제치며 밈코인 판도 흔들어 / TokenPost AI

솔라나(SOL) 기반 밈코인 론칭 플랫폼 렛츠봉크(LetsBonk)가 하루 수익에서 펌프펀(Pump.fun)을 제치고 업계 판도를 흔들었다. 디파이 데이터 플랫폼 디파이라마(DefiLlama)에 따르면, 렛츠봉크는 최근 24시간 동안 약 104만 달러(약 14억 4,560만 원)의 수익을 기록하며, 펌프펀의 53만 3,412달러(약 7억 4,130만 원)를 두 배 가까이 앞섰다. 이는 밈코인 분야의 기존 강자였던 펌프펀의 독주 체제에 변화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양사는 누구나 밈코인을 쉽게 발행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하지만 이번 렛츠봉크의 급부상은 봉크(BONK) 커뮤니티의 강력한 지지와 활발한 소셜 캠페인 덕분인 것으로 분석된다. 봉크는 솔라나 생태계에서 가장 활발한 밈코인 중 하나로, X에서 43만 명이 넘는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코인게코(CoinGecko) 기준으로 봉크는 시가총액 약 18억 달러(약 2조 5,020억 원), 하루 거래량 약 12억 달러(약 1조 6,680억 원)를 기록하며, 전체 암호화폐 중 시총 58위에 올라 있다.

이번 렛츠봉크의 수익 역전은 단순한 순위 변화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밈코인 시장은 유동성과 시장 심리 변화에 민감한 구조인 만큼, 커뮤니티 중심의 프로젝트가 어느 순간 기존 강자를 밀어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봉크 커뮤니티의 조직력과 플랫폼의 사용자 친화적 기능이 결합되며 큰 반향을 일으킨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1:00

등급

StarB

00:04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