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GMX, 해킹으로 400억 원 피해…V1 거래 중단 및 GLP 토큰 발행 일시 중지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탈중앙 파생상품 플랫폼 GMX가 아비트럼 기반 V1 프로토콜에서 해킹으로 400억 원 규모 자산을 탈취당하고 거래를 일시 중단했다. GLP 토큰 발행도 아비트럼과 아발란체 네트워크에서 중단됐다.

 GMX, 해킹으로 400억 원 피해…V1 거래 중단 및 GLP 토큰 발행 일시 중지 / TokenPost AI

GMX, 해킹으로 400억 원 피해…V1 거래 중단 및 GLP 토큰 발행 일시 중지 / TokenPost AI

탈중앙 파생상품 프로토콜 GMX가 사이버 공격으로 약 40억 원 상당의 자산을 도난당하면서 GMX V1 버전의 거래를 전면 중단했다. 해당 사건은 아비트럼(Arbitrum) 네트워크 위에 구축된 GMX의 초기 버전에서 발생했으며, 해커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스테이블코인 등으로 구성된 유동성 풀을 노리고 공격을 감행했다.

GMX 측은 이번 보안 침해로 인해 약 2,880만 달러(약 400억 원) 규모의 자금이 알려지지 않은 지갑으로 유출됐다고 밝혔다. 공격을 받은 유동성 풀은 GMX 프로토콜 전반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핵심 인프라로, 여러 디지털 자산이 그 안에 혼합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GMX는 추가적인 피해를 막기 위해 GLP 토큰의 발행 및 상환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아비트럼과 레이어1 블록체인인 아발란체(Avalanche)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한다. GLP 토큰은 유동성 공급자가 보유하는 디지털 자산 바스켓의 지분을 나타내는 토큰으로, 이번 사건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GMX는 사용자들에게 공지문을 통해 레버리지를 해제하고 GLP 토큰 발행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설정을 변경할 것을 지시했다. 이는 플랫폼 내부에서의 추가 손실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현재 GMX 팀은 공격 경로와 보안 취약점을 면밀히 분석 중이며, 사용자 자산 보호와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사건은 탈중앙화 파생상품 분야에서도 여전히 보안이 취약할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다사랑

09:35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