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의 가격이 수 주째 좁은 범위 내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매도세와 매수세가 팽팽히 맞서면서, 명확한 방향성 없는 조정 국면이 길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시장 내부적으로는 강한 돌파의 가능성을 예고하는 흐름도 관찰되며, 향후 가격 향방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현재 일간 차트에서는 이더리움이 100일 이동평균선과 깃발형 패턴 상단 경계선인 4,100달러(약 5,699만 원) 부근에서 매도압력에 지속적으로 저항받고 있다. 이 가격대는 주요 공급지점으로 작용하며 상승 모멘텀을 여러 차례 차단해왔다. 반면, 하단 경계선으로는 3,500달러(약 4,865만 원) 수요지대가 존재하며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이 범위 내에서 거래량의 출렁임이 이어지는 가운데, 유동성 축적과정이 진행 중이라는 분석이다.
4시간 봉 차트를 보면 이더리움은 대칭 삼각 패턴 내에서 움직이며 불확실성을 지속하고 있다. 현재 가격은 4,000달러(약 5,560만 원) 부근으로, 상단 추세선을 시험 중이나 아직 뚜렷한 돌파는 관측되지 않는다. 이러한 패턴은 일반적으로 급격한 변동성 증가를 앞둔 징후로 해석된다. 상단 돌파 시에는 4,100달러를 넘어 4,600달러(약 6,394만 원)까지 확대 랠리가 가능하며, 반대로 하락할 경우 3,400달러(약 4,726만 원)까지의 추가 조정도 배제할 수 없다.
시장 심리 분석 역시 유사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더리움의 1개월 리퀴데이션 히트맵에서 4,800달러(약 6,672만 원) 이상 구간에 대규모 공매도 청산 포인트가 집중돼 있다. 이는 해당 가격대를 돌파할 경우 매도 포지션의 강제 청산으로 인해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이 존재함을 뜻한다. 반면 하방인 3,500달러 대비 청산 밀도는 낮아 하락 시에는 추가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다는 평가다.
요약하면, 이더리움은 현재 3,400달러에서 4,800달러 사이의 ‘스퀴즈 구간’ 안에서 강한 유동성 균형을 형성하고 있다. 이 균형이 어느 방향으로 깨지느냐에 따라 큰 폭의 추세 전환이 예상된다. 트레이더들은 짧은 박스권 흐름 뒤 급변할 수 있는 시점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