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솔라나·라이트코인·헤데라 현물 ETF, 美 나스닥·NYSE 상장…알트코인 제도권 진입 신호탄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솔라나(SOL), 라이트코인(LTC), 헤데라(HBAR) 기반 현물 ETF가 나스닥과 뉴욕증권거래소에 공식 상장되며 미국 암호화폐 시장 제도화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

 솔라나·라이트코인·헤데라 현물 ETF, 美 나스닥·NYSE 상장…알트코인 제도권 진입 신호탄 / TokenPost.ai

솔라나·라이트코인·헤데라 현물 ETF, 美 나스닥·NYSE 상장…알트코인 제도권 진입 신호탄 / TokenPost.ai

미국 시장에 최초로 현물 기반 ETF가 도입되며, 솔라나(SOL), 라이트코인(LTC), 헤데라(HBAR)를 추종하는 상품이 나스닥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거래를 시작한다. 출시사인 비트와이즈, 캐너리캐피털, 그레이스케일은 미국 정부 일부 부문이 여전히 셧다운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자동 절차 규정을 활용해 상장을 강행함으로써 제도권 진입 흐름에 속도를 더했다.

법적 허점을 활용한 이번 ETF 승인 사례는,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수동 개입 없이도 20일이 경과하면 등록 조항이 자동으로 발효되는 규정을 기초로 한다.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는 "SEC 기업재무국이 이미 이 조항에 대한 명확한 해석을 제공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 해석은 ETF 전문 변호사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이 되었고, 이에 따라 각 운용사는 나스닥에 8-A 등록 양식을 제출하고 공유 상장사로 공식 등록됐다.

선제적으로 거래 개시를 예고한 종목은 캐너리 HBAR ETF(HBR), 캐너리 라이트코인 ETF(LTCC), 비트와이즈 솔라나 스테이킹 ETF(BSOL) 등이다. 이 중 BSOL은 100% 솔라나 직접 보유라는 상품 구조와 함께, 초기에는 운용 수수료가 없고 연평균 7%의 스테이킹 보상을 목표로 설정된 점이 특징이다. 출시는 10월 28일부터 시작되며, 그레이스케일의 기존 솔라나 신탁(GSOL)은 29일 현물 ETF로 전환된다.

이 같은 움직임은 이미 수개월 전부터 기대감이 형성돼 있었던 사안이다. 지난 6월, 제임스 세이파트는 솔라나와 라이트코인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을 각각 90%로 전망했으며, 헤데라도 75% 수준에 이를 것으로 평가한 바 있다. 당시 예상은 현재 현실이 되며, 알트코인 ETF 시대 개막의 신호탄이 되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 반응도 긍정적이다. X(전 트위터) 상에서는 ETF의 자동 승인 절차를 두고 일부는 절차적 불완전성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지만, 대다수는 이 같은 접근이 암호화폐 산업에 규제 명확성과 투자 진입 경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블룸버그의 에릭 발추나스는 “거래소 공시 절차까지 모두 완료됐다”며, “이제 거래 개시만 남은 상태”라고 평했다.

주요 ETF들은 실물 암호화폐 보유를 통해 실제 자산 기반 상품으로 설계됐다. 캐너리 HBAR ETF의 경우, 실제 HBAR 자산을 비트고(BitGo)와 코인베이스 커스터디(Coinbase Custody)를 통해 운용하고, 시세는 코인데스크 인덱스가 제공한다는 구조다. 이는 법률적 안전성과 가격 투명성 확보라는 점에서 기관 투자자 유입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배경적으로는 전반적인 암호화폐 ETF 열풍도 큰 영향을 미쳤다.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10월 22일 기준 총 155건의 ETF 신규 신청이 접수된 상태이며, 관련 자산은 비트코인과 솔라나가 각각 23건으로 가장 많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앞으로도 지속 가능성이 크며, 다양한 알트코인 기반 ETF 혹은 분산형 인덱스 ETF 출시로 확장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알트코인 ETF 출시는 일부 정부 부처 셧다운에도 불구하고 법적 절차를 활용해 상장을 감행한 상징적 사례다. 이는 장기적으로 암호화폐 투자 환경 개선과 함께, 제도권 진입 가속화를 이끄는 분기점이 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제 전통 금융 종사자들도 독립 토큰 ETF보다는 다양한 자산을 담은 인덱스 형태의 상품을 선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상품 구조의 다변화 또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