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Q데이’ 2028년 3월 8일…비트코인($BTC) 암호체계 붕괴 경고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비트코인($BTC)을 비롯한 암호화폐 보안체계가 2028년 양자컴퓨터에 의해 무력화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분석에 따르면, 이날까지 양자컴퓨터가 개인 키 복원을 가능케 할 정도의 성능에 도달할 전망이다.

 ‘Q데이’ 2028년 3월 8일…비트코인($BTC) 암호체계 붕괴 경고 / TokenPost.ai

‘Q데이’ 2028년 3월 8일…비트코인($BTC) 암호체계 붕괴 경고 / TokenPost.ai

암호화폐의 가장 강력한 보안 기반 중 하나인 비트코인(BTC)의 암호 체계가 약 2년 4개월 뒤 치명적인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양자컴퓨팅 기술이 현 추세대로 발전할 경우, 오는 2028년 3월 8일 오전 11시 23분, 전 세계 암호화폐 보안 체계가 무력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 전망은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찰스 에드워즈(Charles Edwards)가 제시했다. 에드워즈는 ‘양자 파멸 시계(Quantum Doom Clock)’라는 모델을 인용해, 이 시점까지 양자컴퓨터의 논리 큐비트(logical qubit) 수가 암호체계를 무력화하는 데 필요한 수준인 1,673개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현존하는 암호화폐 지갑을 보호하는 타원곡선 암호(ECC)와 RSA 체계가 붕괴된다는 의미다.

이 모델은 양자보안 전문가 리처드 카백(Richard Carback)과 암호화폐 기업가 콜튼 딜런(Colton Dillion)이 공동 개발했다. 구글과 IBM의 큐비트 성장률, 오류율, 물리 큐비트와 논리 큐비트 간 전환률 등을 근거 삼아 매우 정밀한 수치를 도출했다. 예컨대, 구글이 2019년 개발한 시커모어(Sycamore) 칩은 53큐비트였으나, 2027년 말까지 6,000큐비트 이상 확장될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양자 우위를 나타내는 시점은 암호화폐 업계에서 ‘Q데이(Q-Day)’로도 불린다. 한 번 이 시점에 도달하면 양자컴퓨터는 쇼어 알고리즘(Shor’s algorithm)을 통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ETH)의 지갑 주소를 역설계해 개인 키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개인 키를 탈취한다는 것은 곧 암호화폐 소유권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다는 뜻이며, 실제 자산 탈취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규모는 약 2조 5,000억 달러(약 3,375조 원)에 달하며, 이 중 대부분이 기존 암호화 기법에 의존하고 있다. 에드워즈는 이런 상황이 바뀌지 않는다면, 단 하루 만에 전 세계 디지털 자산이 증발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해결책으로는 ‘양자 내성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로의 조속한 전환이 거론된다. 그러나 핵심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이미 광범위하게 퍼진 알고리즘을 대체하는 데에는 기술적·정치적 장애가 존재한다.

암호화폐 업계는 그동안 양자컴퓨팅 위협을 다소 이론적인 수준으로 받아들여 왔다. 하지만 이번 경고는 Q데이의 도래 시점을 구체적인 날짜와 시간으로 제시하며, 업계 전반에 강력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양자컴퓨터가 비트코인의 존재 기반을 위협하는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앞으로 2년여 남은 시간 동안 블록체인 업계가 양자 보안 대응에 어떤 해법을 마련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