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를 선도하는 IP 블록체인 플랫폼 스토리(Story)는 사내 인큐베이팅 프로젝트 ‘포세이돈(Poseidon)’이 글로벌 최대 벤처캐피털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의 ‘a16z 크립토(a16z crypto)’ 주도로 1,500만 달러(한화 약 208억원)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포세이돈은 AI 훈련을 위해 개발된 풀스택 탈중앙화 데이터 레이어로, 로보틱스, 멀티모달 모델, 차세대 AI 개발에 필요한 IP 문제를 해소한(IP-cleared)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최근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오픈소스화와 AI 연산 자원의 상용화 가속으로 데이터가 AI의 핵심 경쟁력이 되고 있지만, AI 훈련 데이터는 법적 투명성과 품질 면에서 여전히 한계를 안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 누구나 안전하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스토리는 프로그래머블 IP 기반 블록체인인 포세이돈을 선보이게 됐다.
포세이돈은 스토리의 IP 라이선싱 인프라를 기반으로 AI 개발자와 데이터 기여자 간의 데이터 교환을 추적하고 수익화할 수 있도록 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명시적 동의 과정을 거쳐 스토리 블록체인에 등록돼 상업적 활용이 가능한 라이선스를 부여받는다. 이를 통해 포세이돈은 그동안 AI 모델 훈련에 있어 고질적인 문제였던 데이터의 IP 분쟁, 롱테일 데이터의 부족 등을 해결한다.
포세이돈은 로봇 훈련용 1인칭 시점(POV) 영상, 다국어 음성 등 전통적으로 찾기 어려웠던 유형의 데이터셋을 수집하고 AI 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양질의 데이터로 가공해 제공한다. 데이터를 쉽게 찾아 라이선스를 부여하고 통합할 수 있도록 처리해 AI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포세이돈은 DePIN(탈중앙화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 프로젝트들과 연계해 센서 데이터를 확보하고, 리믹스, 재활용, 로열티 공유 등 2차 활용까지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올 여름 AI 개발자와 데이터 기여자를 위해 사전 공개하며 기여자 모듈,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통합 라이선싱 도구 등 인프라 스택을 순차적으로 선보인다.
스토리 최고 AI 책임자(CAIO) 및 포세이돈 프로젝트 수석 과학자인 샌딥 친찰리(Sandeep Chinchali)는 “AI는 이제 모델의 규모보다 ‘차별화된 데이터’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단계로 넘어갔다. 이에 포세이돈은 복잡한 실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AI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IP 문제를 해소한 고품질의 데이터를 제공한다”며 “노인 돌봄 지원 로봇, 다문화 감성 해석, 공공 장소에서 대중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시뮬레이터까지 실질적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a16z 크립토 창립자 겸 매니징 파트너 크리스 딕슨(Chris Dixon)은 “AI 모델들은 이미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훈련 데이터를 대부분 소진한 상태”라며 “포세이돈은 차세대 AI 시스템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창작자와 기여자에게 정당한 보상을 제공하며, AI 개발의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인프라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세이돈 프로젝트에는 세계적인 AI 및 웹3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 스탠포드 대학교 AI 연구원 출신이자 VM웨어에 인수된 우하나(Uhana)의 전 수석 데이터 과학자인 샌딥 친찰리(Sandeep Chinchali)와 금융·통신·헬스케어 분야에서 AI 제품 확장을 주도해온 머신러닝 엔지니어 사릭 샤(Sarick Shah)가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스토리의 개발사 PIP랩스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이승윤 대표는 포세이돈의 의장 역할도 수행하며 전략적 사업 개발을 총괄한다.
이승윤 대표는 “포세이돈은 스토리 2.0을 여는 새로운 단계로 ‘IP와 데이터가 AI 경제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는 스토리의 예측을 입증한 사례”라며, “포세이돈의 모든 데이터셋은 스토리의 프로그래머블 IP 레이어와 위변조가 불가능한 IP 레지스트리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이를 바탕으로 AI 연구소와 기업, 엔터프라이즈 파트너들이 겪고 있는 법적 리스크와 소유권 문제를 해소하고 AI 학습 생태계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포세이돈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www.poseidonai.io 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