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BTC 사이클 트래커] 비트코인 10.6만~10.7만 달러 체결 집중…히트맵상 과매수 신호 경계권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3
좋아요 비화설화 5

비트코인은 최근 한 달간 10만4600달러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매물 지지를 보이고 있으며, 24시간 기준 10만8800달러 고점 부근에서 과매수 경계 신호가 포착됐다. 히트맵상 단기 과열 해소 구간 진입이 예상되며, 11만 달러 돌파 시 새 상승 파동 가능성도 열려 있다.

 [BTC 사이클 트래커] 비트코인 10.6만~10.7만 달러 체결 집중…히트맵상 과매수 신호 경계권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10만8000달러대까지 상승한 가운데, 히트맵 분석을 통해 단기 과열 신호와 중기적 매물 지지대가 동시에 작동하는 핵심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점 대비 조정률 (Drawdown from ATH)

2025년 7월 3일 기준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3.16% 상승한 10만901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5월 22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 11만1891달러 대비 낙폭은 추가 축소됐다. 현재 조정률은 –2.57%로 전주 –3.61%보다 약 1.04%p 회복된 모습이다.

10만 달러 후반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는 흐름이다. 이는 단기적 저점 인식과 기술적 반등 기대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조정률 둔화는 상승 추세 지속 기대를 자극할 수 있으나 고점 재돌파를 위한 모멘텀 회복 여부는 여전히 시장 유동성과 중기 추세선의 지지력에 달려 있다.

반감기 이후 흐름 (Days After Halving)

2024년 4월 20일 발생한 비트코인 네 번째 반감기 이후 440일이 지난 현재 비트코인은 당시 가격 6만3850달러 대비 약 70.73% 상승한 상태다. 전주 상승률 68.91%에서 1.82%p 증가하며 상승세가 이어졌다.

역대 사이클을 보면 반감기 이후 약 6개월 시점부터 강세장이 본격화되고, 최고가는 대체로 12~18개월 내 도달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는 해당 구간 중반에 위치해 있으며 기술적 추세 확인과 수급 조정이 동시에 이뤄지는 모습이다.

이번 사이클도 유사한 흐름을 따를 경우, 다음 사상 최고가는 약 110일 후인 2025년 10월 21일 전후로 전망된다. 이어지는 사이클 저점은 약 475일 뒤인 2026년 10월, 다음 반감기는 980일 후인 2027년 3월로 예측된다.

저점 간 변화 (Low-to-Low Comparison)

비트코인은 2022년 11월 21일 기록한 이번 사이클 저점(1만5770달러) 대비 약 591% 상승한 상태이며 이후 956일이 경과했다.

과거 비트코인 사이클의 저점 간 평균 주기가 약 1430일인 점을 고려하면 현재는 전체 주기의 약 66.8%가 진행된 시점이다. 이 구간은 보통 상승 추세가 둔화되고, 고점 근처에서 등락을 반복하는 구간과 겹친다.

최근 시장도 강한 상승보다는 횡보와 단기 조정이 섞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약 475일 후인 2026년 10월 21일 전후를 사이클 종료 시점으로 예측할 경우, 이후 구간은 점진적인 고점 형성과 시장 균형 조정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가격 체류 히트맵 (Price Visit Frequency Heatmap)

비트코인 가격 체류 히트맵 (최근 한달) / 비트코인카운터플로우

최근 한 달간 비트코인은 9만5600달러 저점에서 11만1800달러 고점까지 넓은 박스권을 오가며 변동성을 소화해왔다. 이 구간에서 가장 두터운 체결 밀도는 10만4600달러 선으로, 시장 참여자들의 평균 체결 가격이 집중된 중기적 균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수준은 단기 급락 후 회복 흐름에서도 반복적으로 지지력을 확인한 구간이다.

1주 히트맵 기준으로는 10만6300달러~10만7300달러 부근에서 매수·매도 공방이 가장 치열하게 전개됐다. 해당 구간은 지난주 박스권 상단이자 최근 급등 전 눌림목으로, 단기 매물 소화를 거치며 강력한 지지 레벨로 전환된 모습이다. 반대로 11만 달러 돌파 후 형성된 고점 영역은 체결 밀도에 비해 매물 대응이 빠르게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 아직 실질적인 매도 저항대는 형성되지 않았다.

24시간 히트맵에서는 10만5300달러~10만8800달러 구간에서 체결이 집중되며, 현재 시세(10만8804달러)가 해당 구간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전일 급등 이후 단기적으로 매수세가 다소 둔화되는 모습이며, 이 구간은 추세선 기준 과매수 권역에 근접해 있는 만큼 일부 차익 실현이 나올 수 있는 자리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10만6000달러~10만7000달러는 단기 조정이 나오더라도 지지력을 기대해볼 수 있는 구간이다. 고점 재도전 시 11만 달러를 매물 소화 구간으로 삼고 안착 여부를 판단해야 하며, 이탈 시 10만4600달러대까지 눌림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 현재 시세가 과열 경계선에 근접해 있는 만큼 단기 조정 이후 재차 11만 돌파를 시도할 경우, 새로운 파동 진입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3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7.03 15:37:40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7.03 10:41:1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빅리치

2025.07.03 10:14:2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