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자산이 아니다. 그것은 새로운 통화 질서의 설계 언어이자, 국가 간 패권 경쟁의 도구로 변하고 있다. 이선민 인하대 교수의 《스테이블코인의 시대》는 디지털 통화 전환기를 ‘금융기술’이 아닌 ‘국가 전략’의 관점에서 분석한 국내 최초의 체계적 저작이다. 토큰포스트 북클럽은 이번 연재를 통해 비트코인 전략보유, 스테이블코인의 글로벌 확산, 그리고 다가오는 디지털 금융 패권 경쟁의 본질을 다섯 편의 시리즈로 살펴본다. [편집자주]
『스테이블 코인의 시대』에서 이선민 인하대 교수는 “디지털 냉전은 이미 시작됐다. 그리고 그 전장은 블록체인 위에 있다”고 말한다.
과거의 냉전이 군사력과 이념의 대립이었다면, 오늘날의 경쟁은 데이터, 통화, 기술 인프라를 통제하는 ‘디지털 패권 전쟁’으로 옮겨가고 있다. 그 중심에는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이 있다.
미국 vs 중국, 디지털 패권 경쟁의 현실
미국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민간 주도의 디지털 달러 체제를 확장하고 있고,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CBDC)를 앞세워 국가 주도의 블록체인 질서를 구축하고 있다.
이선민 교수는 이를 “자유 대 통제, 시장 대 국가의 구조적 대립”으로 정의한다.
-
미국의 전략: 탈중앙화 생태계를 민간이 주도하며, 혁신을 시장에 맡긴다.
-
중국의 전략: 중앙은행이 모든 거래를 추적·관리하는 완전 통제형 모델을 추진한다.
이 두 접근 방식은 블록체인의 근본 철학인 ‘신뢰의 분산’을 두고 정반대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비트코인 전략보유와 스테이블코인의 결합 – 새로운 금융 질서의 축
미국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달러의 디지털 패권을 공고히 하면서, 동시에 비트코인을 자산시장에 편입해 금융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금융위기 속에서 신뢰의 자산으로, 스테이블코인은 경제 시스템 속에서 기능하는 달러의 대체판으로 자리 잡았다.
이선민 교수는 “비트코인 전략보유와 스테이블코인의 결합은 탈중앙화 경제의 완전한 자립 구조를 만드는 핵심 메커니즘”이라고 설명한다.
중국의 디지털 위안, 그리고 대항 전략
중국은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네트워크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위안화(e-CNY)를 적극 확산시키고 있다.
일대일로(一帶一路) 참여국들 간의 무역 결제에 디지털 위안을 활용해 달러 의존도를 줄이고, 금융 주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이다.
하지만 이 교수는 경고한다.
“디지털 위안은 강력한 효율성과 동시에, 전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감시 시스템을 내포하고 있다.”
즉, 블록체인이 ‘투명한 자유’를 상징한다면, 디지털 위안은 ‘감시의 투명함’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중간국들의 선택 – 디지털 비동맹의 가능성
미국과 중국의 양극 구도 속에서, 한국, 인도, 동남아, 유럽 등은 점차 디지털 비동맹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이선민 교수는 이를 “디지털 비동맹운동(Digital Non-Aligned Movement)”이라 명명하며, 각국이 독자적인 스테이블코인, CBDC, 디지털 결제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경제 블록화와 기술 종속을 피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분석한다.
마무리 – 블록체인은 새로운 패권의 언어다
『스테이블 코인의 시대』는 결론적으로 말한다.
“21세기의 패권 경쟁은 더 이상 군사력이나 무역이 아니라, 디지털 화폐를 중심으로 한 기술 네트워크의 경쟁이다.”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금융 기술이 아니라, 국가 간 신뢰와 자본 흐름, 가치의 주권을 둘러싼 새로운 ‘통화 전쟁’의 핵심 무기다.
📖 다음 연재에서는, 디지털 금융 질서 속에서 한국이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준비해야 할 새로운 패권 시대의 생존 전략을 다룬다.
👉 책 구매 및 북클럽 콘텐츠 보기 《스테이블 코인의 시대》 –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이 만드는 디지털 냉전의 현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