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장사 SKAI가 약 1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운영자금 등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는 회사의 자금 유동성과 재무 구조 안정화를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SKAI는 2025년 10월 15일 공시를 통해 제3자 배정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단행한다고 밝혔다. 주당 발행가는 1천900원이며, 신주 발행 규모는 보통주 52만6천315주다. 발행 신주는 모두 김광수 씨에게 배정될 예정으로, 이번 증자는 특정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전략적 투자 유치 성격이 강하다.
제3자 배정 유상증자는 외부 투자자를 통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면서도 주주총회 소집 없이 빠르게 추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유동성 확보는 물론, 새로운 투자자와의 관계를 통해 사업 시너지나 경영 안정성을 도모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SKAI 측이 밝힌 자금 용처는 운영자금이라고 명시돼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연구개발(R&D), 생산시설 확충, 신규 사업 진출 등 기업의 성장기반 마련을 위해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자기자본 비율을 높이려는 의도로도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의 지분 희석을 동반할 수 있는 만큼, 투자자들은 발행 규모와 향후 주가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발행가가 시장가 대비 얼마나 할인됐는지에 따라 주가 흐름에도 단기적인 변동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같은 행보는 자금 조달 수단이 제한적인 중소·벤처기업군 상장사들에서 자주 나타나는 방식이다. 향후 SKAI가 조달한 자금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기업 가치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