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브릭스(BRICS)를 지지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새로운 *관세* 정책을 예고해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는 브라질에서 개막한 브릭스 정상회의를 겨냥해, 해당 국가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조치는 "반미 정책에 대한 단호한 대응"이라는 입장이지만, 구체적인 기준이나 대상국은 공개되지 않았다. 트럼프는 특히 이번 조치에 대해 “예외는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강경 노선을 예고했다.
현재 브릭스는 기존 5개국(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도네시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신흥국까지 추가로 참여하며 확장세에 있다. 이번 회의는 인도네시아의 첫 공식 참석으로도 주목받았으며, 글로벌 협력 강화를 추진하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트럼프는 이와 같은 브릭스의 연대가 G7 및 G20에 대한 대안으로 작동하는 것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이번 발언은 2024년 미국 대선을 겨냥한 외교·통상 이슈 선점 차원으로도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미국의 위상을 다시 세우겠다며, 자국 중심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공언해왔다. 이에 따라 관세 정책을 통해 외교적 압박과 통상전략을 병행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브릭스는 최근 국제 정치·경제 구도에서 미국 중심의 블록체인을 탈피하려는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트럼프의 이번 조치는 단순히 관세전쟁을 넘어 *지정학적 세력 재편*에 대한 반발 성격까지 포함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일각에선 미국 내 기업들의 공급망 불안과 인플레이션 재확산을 우려하며, 섣부른 조치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