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테슬라, '脫중국' 본격화…배터리까지 미국 내 생산 전환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3

테슬라가 미국 내 생산 차량에 중국산 부품 사용을 중단하고, 배터리 생산까지 자국 내로 전환 중이다. 미·중 갈등 심화와 고율 관세가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테슬라, '脫중국' 본격화…배터리까지 미국 내 생산 전환 / 연합뉴스

테슬라, '脫중국' 본격화…배터리까지 미국 내 생산 전환 / 연합뉴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차량에 사용되는 부품에서 중국산을 완전히 배제하는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는 미·중 갈등과 미국 내 보호무역 정책 강화 속에서 기업 차원의 대응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테슬라는 자사 미국 공장에 부품을 공급하는 주요 협력업체들에 중국산 부품의 사용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이 같은 방침은 올해 초부터 시행되어 왔으며, 이미 일부 중국산 부품은 다른 지역 제품으로 대체가 이뤄진 상태다. 테슬라는 향후 1~2년 안에 나머지 부품들도 모두 중국 이외 지역 제조품으로 바꾼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번 조치는 일차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산 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에서 비롯됐다. 여기에 최근 들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 정책이 겹치면서, 테슬라의 ‘탈(脫) 중국’ 부품 전략은 더욱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이는 테슬라뿐 아니라, 다른 미국 제조업체들도 점차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움직임과 궤를 같이한다.

실제 사례 중 하나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다. CATL(중국 최대 배터리 제조사)은 테슬라의 주요 공급업체였으며, 테슬라는 과거 이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을 미국 시장에 판매했다. 하지만 해당 차량들은 미국 정부의 전기차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됐고, 올해부터 중국산 배터리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자 테슬라는 해당 부품 사용을 중단했다. 대신 네바다주에 자체 LFP 배터리 생산 시설을 짓고 있으며, 이 시설은 2026년 1분기 가동될 예정이다.

테슬라는 자국 내 생산 확대와 함께 중국 이외 지역의 공급망도 다각화할 계획이다. 바이바브 타네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4월 자국 내 셀 생산과 더불어 중국 외 공급업체 확보에 나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단순한 생산 전략을 넘어, 기업이 지정학적 리스크를 고려한 공급망 리디자인(재설계)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안겨준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도 미국 정부의 대중 무역정책 기조와 긴밀히 맞물려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 테슬라뿐만 아니라 다른 글로벌 제조기업들도 미·중 관계의 불확실성을 감안해 중국 중심의 공급 구조를 재편하려는 움직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3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위당당

16:20

등급

WayneKIM

11:03

등급

다사랑

07:36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위당당

2025.11.16 16:20:3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