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0에 수렴
백신을 통해 시장/경제 빠르게 획복중 금리 유지 노력
주택부분 강세
노동시장 불균형하지만 회복세
CPI 5%로 높았음
백신접종률 증가 => 고용시장 회복 가속
인플레이션 눈에 띄게 상승
근 시일내에 높을것으로 분석
병목현상 타격
인플레이션 3.5/4 => 2% 내리는게 목표
인플레이션 상승할 수 있지만 고용률 안정을 목표로 함
통화정책
변이코로나 위협아직있음
단기 인플레이션 통제불가
장기 인플레이션 통제가능
21년 0% => 22년~24년 1%~3%
금리나 테이퍼링 변동사항 있을시 선공지(뒷통수 조심)
우리말에 시장이 집중하고 있는거 알고있음
노동 시장&노동자 수요 분석한다면 고용 시장&고용률 안정화
노동 참가율의 저조 해결이 키포인트
노동 참가율 저조는 가시권 안에있다
인내부탁
병목현상으로 인해 목재, 중고차시세 상승
단기적 대응불가능, 장기적 대응가능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데이터 필요
달력 내에 정해진 시간 없음
장기적 인플레이션 프로젝트 접근이 맞다
코로나 초기에는 장기 인플레이션이 더욱 낮았지만
현재 더 나은 방향성을 가질수있게 되었음
이러한 데이터에의하면 장기적으로 바라보는게 좋다고 분석
금리변동에 있어서 완벽한 예측 불가능
현재 중요한것은 목표범위가 충족되는것
이러한 상황속에도 목표범위가 충족되고 있다고 생각
조금더 빠른 경제 회복및 코로나를 이겨내게 된다면 좋습니다
사실 금리 중점 X 자산 구매 중점 O
질문
테이퍼링언제?
미리 공지하겠음 시간은 정해진건 없음목표에 다가갈수록 조금더 명확함 타임라인 나올것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위험가능성 연준 관점은?
2%선에서 유지될것으로 예상 예전과는 다른점 인지하고있고 변화를 받아들여야함
저번쿼터의 결과를 본다면 예측 불가능
임금상승+고용이 안된 전체 인원이 많음으로 인해 빠른 고용시장 획복 있을거라 판단
보충 레버리지 비율
정확한 타임라인 X
원자재 가격안정화 진행중 이러한 현상 다가올 미래 대입 가능?
지금 이건 문제 아님 오히려 인플레이션이 낮아질 수도 있다는 분석 있음
언제든지 가격이 오를수도 있고 예측불가능
결론
경제는 여전히 매우 건강하게 성장중 나비효과로 고용시장 회복하면 임금 상승 하는 좋은 방향성 가능 생각
장기 금리 2.5% 단기 금리 파악 불가능
테이퍼링 일정 상황에 따라 변동가능?
일차적으로는 연준에서는 프레임워크를 통해 긍정적인 방향성을 유지하고자 함
고용지수, 연준의 목표같은 것으로 금리를 내리고 올리고 한느게 아님
금리의 상승과 하락은 언제나 유동성있을 수 있음
경제가 상당한 진전을 이룰때 연준은 테이퍼링 진행할 것
다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출처:EZPZ 유튜브 채널
중요해 보이는 부분만 스크랩해오느라 몇몇 부분은 이탈했을 수도있으니 자세한내용은 직접 가서 확인하세요
댓글 1개
홍시1000
2021.06.18 01:44:18
감사합니다
2021.06.17 23:5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