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국세청, AI 인재 2천 명 대규모 양성…“업무방식 혁신” 본격화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국세청이 연내 2천 명 대상 AI 교육에 착수하고, KAIST와 함께 핵심 전문가 100명 육성을 추진한다. 이는 조직문화와 세정업무의 대대적 혁신을 예고한다.

 국세청, AI 인재 2천 명 대규모 양성…“업무방식 혁신” 본격화 / 연합뉴스

국세청, AI 인재 2천 명 대규모 양성…“업무방식 혁신” 본격화 / 연합뉴스

국세청이 조직 전반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하기 위한 대대적인 교육과 인력양성에 나섰다. 올해 안으로 약 2천 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AI 기본 교육을 실시하고, 이 가운데 100명을 핵심 전문가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이번 교육은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서서 조직문화와 업무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는 국세청의 전략적 방향을 반영한다. 국세청은 실무에 즉각 투입 가능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AI 교육을 총 3단계로 나눠 과정을 구성했다. 지난 9월 기본 교육을 시작했고, 전략적 사고 중심의 특강은 10월에 진행됐다. 이어 11월부터는 고급 수준의 실무 교육으로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AI 모델에 적절한 명령을 입력해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는 기술),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등 과정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번 교육 체계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협력을 통해 설계됐다. KAIST는 국내 최고 수준의 과학기술 전문 연구기관으로, 국세청과 손잡고 공무원 조직 내 AI 활용 능력 제고를 구체화했다. 국세청은 자체 개발한 AI 학습 콘텐츠와 더불어 현장 실습에 중점을 둔 커리큘럼 구성으로 실무에 바로 접목 가능한 성과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국세청 내부에서는 미래학자로 알려진 서용석 KAIST 교수가 초청 강연을 진행했다. 서 교수는 “AI 전환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미래에 대비한 조직 역량 재정립의 문제”라며, 국세청의 시도는 장기적 관점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임광현 국세청장도 같은 날 “AI를 활용한 혁신은 국세청 업무방식은 물론 사고 그 자체를 뒤바꾸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AI가 납세자 중심의 공정하고 합리적인 세정 서비스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국세청뿐만 아니라 다른 공공기관으로도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 전체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발맞춰 공공 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이 세정 등 민감한 업무에 활용되기 시작하면, 기술력뿐 아니라 데이터 관리, 보안 등 제반 역량 강화도 병행돼야 할 과제로 남는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00:07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10.28 00:07:1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