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도입 논의가 진행 중인 스테이블코인이 침체한 국내 블록체인 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마지막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류창보 오픈블록체인협회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9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연 블록체인 수요·공급자 협의체 '에이블' 올해 1차 정례회의에서 기조 발제를 통해 최근 스테이블 코인 활성화 움직임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류 회장은 "모든 자산이 토큰이라는 디지털 형태로 바뀌고 있는데 디지털화된 자산을 사고팔기 위한 디지털화된 결제 수단이 바로 스테이블코인"이라고 정의했다.
류 회장은 지금까지 메타버스, 증권형 토큰(STO) 등 디지털 자산과 관련한 '뜨거운 감자' 같은 화두가 대두될 때마다 블록체인 업계가 들썩였다가 제도화에 연이어 실패한 사례를 거론하며 최근의 스테이블코인 '열풍'을 블록체인 산업 회복의 기회로 연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정산 시스템과 자산 토큰화를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테이블코인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공공성과 신뢰성 확보를 강조했다.
지금까지 개인적 영역의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되며 상호 운용성이 떨어진 탓에 공공 영역의 블록체인 기술과 업계가 고사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을 했다.
이에 따라 국산 블록체인 기술의 개발과 활용보다 외산 설루션에 의존하는 기술력 약화가 심해졌다고 했다.
그는 공공 분야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강조하면서도 정보보안 리스크에는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류 회장은 "스테이블코인이 한번 시장에 풀리고 리스크가 생기면 주워 담을 수 없게 될 것"이라며 북한이 해킹한 자금이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자금 세탁이 이뤄지고 있다는 해외 보고 내용을 언급했다.
조원희 한국블록체인스타트업협회장은 "디지털 자산에 일부 부정적이던 미국의 증권거래위원회(SEC)도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정책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의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과정이 금융권의 반대를 넘어선 디지털 자산 정책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조 회장은 유럽연합(EU)의 가상자산 시장 법안(MICA) 입법 등 디지털 자산 전반을 아우르는 입법이 국내에서 아직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최근 발의된 디지털자산기본법안이 논의의 시발점으로 의미가 있지만 블록체인 산업 진흥 논의보다는 디지털 자산 규제에 집중된 점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 블록체인 거래량이 세계 3위라며 스테이블코인과 함께 증권형 토큰(STO) 제도화가 이뤄진다면 국내 블록체인 산업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안창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PM은 블록체인이 인공지능(AI) 일상화 시대에 AI 데이터에 신뢰를 더 하는 핵심기술이라고 짚었다.
그는 "AI가 학습한 데이터에 허위 정보가 포함됐는지, 개인정보 침해 여지가 있는지 확인하는 데 위변조 방지, 출처 확인 등이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며 "빅테크 중심의 중앙집중화된 AI 플랫폼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