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암호화폐 업계에서 약 2조 9,788억 원(약 24억 7,000만 달러) 규모의 자산이 도난 당한 가운데,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전 세계적으로 더욱 *강력한 규제 조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FATF는 지난 6월 26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국가들이 암호화폐 관련 자금세탁방지(AML) 및 테러자금조달방지(CFT)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리에 본부를 둔 FATF는 지난 2024년 이후 가상자산(VA) 규제와 관련해 일정 수준의 진전이 있었지만, 여전히 다수 국가에서 스캠과 불법 거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해외에 등록된 가상자산사업자(VASP)에 대한 규제 공백이 문제로 지적되며, 사업자에 대한 *면허 및 등록제도 도입*이 필수라는 입장을 밝혔다.
FATF는 현재 99개국이 ‘트래블 룰(Travel Rule)’을 도입했거나 도입을 추진 중이며, 그 이행 수준을 감독하기 위한 ‘감독 모범사례 보고서(Best Practices on Travel Rule Supervision)’도 함께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트래블 룰의 글로벌 안착을 위한 감독 체계 개발에 있어 참고할만한 국제 사례들을 포괄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의 배경에는 올해 전례 없는 수준으로 증가한 암호화폐 해킹 건수가 있다. 2025년 상반기에만 2조 8,393억 원(약 22억 2,000만 달러)에 달하는 디지털 자산이 탈취됐으며, 특히 북한 해커 조직이 바이비트(Bybit) 해킹을 통해 2조 300억 원(약 14억 6,000만 달러)의 피해를 입힌 것으로 드러났다. FATF는 이러한 상황이 암호화폐 공급망 전반의 *글로벌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를 표했다.
가장 큰 문제는 트래블 룰 준수를 포함한 FATF 가이드라인을 실제로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국가가 적다는 점이다. FATF에 따르면, 현재까지 평가된 138개국 중 실질적으로 규정에 부합한다고 평가받은 국가는 단 40개국에 불과하다. FATF는 “가상자산은 본질적으로 국경 없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한 국가의 규제 실패가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FATF는 향후에도 VASP 감독을 강화하고, 국가별 AML/CFT 체계의 국제 정합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최근 블록체인 기술 확산과 탈중앙화 금융(DeFi)의 성장에 따라 규제 사각지대가 커지는 상황에서 *투명한 암호화폐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필수적인 수순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