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리움($ETH), 4,500달러 회복…4,880달러 돌파 시 본격 강세장 진입 전망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이더리움이 4,500달러 저항선을 회복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4,880달러 돌파가 강세장 진입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더리움($ETH), 4,500달러 회복…4,880달러 돌파 시 본격 강세장 진입 전망 / TokenPost.ai

이더리움($ETH), 4,500달러 회복…4,880달러 돌파 시 본격 강세장 진입 전망 / TokenPost.ai

이더리움(ETH)이 심리적 저항선으로 작용하던 4,500달러(약 6,255만 원)를 회복하며 새로운 상승세의 신호탄을 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현재 차트 구조상 향후 4,880달러(약 6,787만 원) 돌파 여부가 이더리움의 강세 전환을 확정짓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보도 시점 기준 4,530달러(약 6,299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7일간 5% 가까운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일일 기준으로는 2% 가량 약보합을 보였지만, 전반적인 매수세는 뚜렷하게 유지되고 있다. 특히 2018년부터 이어진 장기 상승 추세선에서 꾸준히 반등에 성공해온 전례가 이번에도 반복될 가능성이 제기되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 트레이더 타디그레이드는 “이더리움이 지난 하락 이후 상승 구조 안에서 지지를 받고 반등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상승 흐름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해당 패턴이 과거 수차례 진행된 바 있다며, 이번 반등 역시 차기 강세장을 여는 서막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장에서는 4,800~4,880달러(약 6,672만~6,787만 원) 구간을 핵심 저항선으로 보고 있다. 이 지점은 이전 상승장에서도 주요 저항으로 작용한 가격대이기 때문에, 이를 돌파할 경우 기술적 매수세가 강해질 수 있다. 암호화폐 시장분석가 나미는 “현재 이더리움은 결정적인 기로에 서 있다”며, "4,880달러 상단 돌파에 성공할 경우 다음 단계 상승이 본격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기술적 지표 외에도 네트워크 활동 측면에서도 강세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 데이터 플랫폼 밸리데이터큐(ValidatorQueue)에 따르면, 현재 약 260만 개의 이더리움이 출금을 대기 중이다. 이는 약 117억 3,400만 달러(약 163조 6,426억 원)에 달하는 금액으로, 기록적인 대기 물량이다. 현재 출금 대기 시간은 45일로 역대 최장이다. 이는 네트워크 활동 증가 및 장기 보유자들의 관심이 여전히 높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최근 보고서에서 “현물 ETF 승인 이후 이더리움에 대한 수요 구조가 투자자 중심의 장기 전략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이는 단기 가격 상승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유의미한 움직임을 암시한다”고 평가했다.

기술적 상승 요소와 함께 기관급 수요의 성장까지 더해지며, 이더리움은 새로운 불마켓 진입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다만 해당 흐름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4,880달러 돌파라는 ‘결정적 순간’을 넘어야 한다. 투자자들은 추후 며칠 간의 가격 움직임과 네트워크 지표 변화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