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 주제
Notcoin의 공동 창립자인 사샤 플롯비노프(Sasha Plotvinov)가 WAGMI HUB의 'Alpha Leak – Unfiltered Intel' 라이브 인터뷰에 출연하여, Notcoin의 폭발적 성장 과정과 이후 직면한 과제,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을 솔직하게 공유했습니다. Notcoin의 핵심 주제와 주요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프로젝트 관련 새로운 인사이트도 언급되었습니다.
주요 내용
- 텔레그램을 통한 대규모 사용자 유입: Notcoin은 2024년 초 텔레그램 미니앱으로 출시된 밈 코인 게임으로, 출시 후 3개월 만에 3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암호화폐 생태계로 끌어들이는 기록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창립자는 이러한 폭발적 성장의 비결로 진입 장벽을 극도로 낮춘 점과 바이럴 메커니즘을 꼽았습니다. 팀은 마케팅 예산 없이도 모든 성장이 자연 발생적으로 이루어졌다고 강조했는데, 실제로 텔레그램 내 5만 3천여 개의 커뮤니티가 Notcoin 경쟁에 참여하며 입소문을 냈습니다. 친구를 초대하고 함께 경쟁하는 요소(예: 리더보드, 커뮤니티 간 경기) 덕분에 94%의 신규 사용자가 지인 추천을 통해 유입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 '탭투언' 모델의 한계 인식: 사샤는 초기 Notcoin의 성공을 견인했던 “탭투언(tap-to-earn)” 방식의 한계를 솔직하게 인정했습니다. 많은 이용자들이 단순히 토큰 보상을 얻기 위해 게임에 몰려들었고 목표를 달성하면 곧바로 이탈하여 다른 게임으로 옮겨가는 현상이 벌어졌습니다. 그는 이제 단순 클릭으로 코인을 채굴하는 게임 시대는 끝났다며, 이런 지속 불가능한 모델을 탈피해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보상만을 노리는 이용자는 금방 떠나기 때문에,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게임 자체의 재미와 사회적 요소가 필수적이라는 것이 그의 견해입니다.
- 커뮤니티 중심의 프로젝트 진화: Notcoin은 단순한 게임을 넘어 커뮤니티와 문화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제 게임 퍼블리셔 겸 플랫폼의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샤는 Notcoin 커뮤니티가 열광적인 참여로 결속된 일종의 “컬트 문화”를 이루고 있다고 표현했습니다. 그는 "웹3의 대중 채택을 이끌 열쇠는 첫째도 진입 장벽 제거, 둘째도 바이럴 요소, 그리고 사용자에게 실제 가치와 개인화된 경험을 주는 것"이라고 말하며, 이러한 원칙 아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초기 경쟁에만 집중하기보다 충성도 높은 커뮤니티 구축을 통해 Notcoin을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입니다.
- 유사 프로젝트와의 비교에서 얻은 인사이트: 인터뷰 중 2024년에 등장했던 수많은 모방형 탭투언 게임들도 언급되었습니다. 사샤는 "겉모습만 베껴서는 성공할 수 없다"고 지적하면서, Notcoin의 성공 이후 우후죽순 생겨난 유사 게임들이 지속적인 사용자 유지에 실패한 사례를 예로 들었습니다. 실제로 Hamster Kombat 등의 게임은 에어드롭 전 3억 명 이상의 가입자를 끌어모았다고 주장했지만, 일시적인 열풍에 그치고 급속히 쇠퇴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그는 차별화된 콘텐츠의 중요성과 견고한 커뮤니티 형성이 없으면 장기 성공이 어렵다는 교훈을 강조했습니다. Notcoin 팀은 남들이 따라하기 힘든 고유한 재미 요소와 열성적인 사용자층을 통해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향후 계획과 핵심 메시지: 이번 영상에서 전달된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Notcoin이 “지속 가능한 재미”를 향해 진화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사샤는 텔레그램 게임 분야에서 아직 제대로 된 “게임”은 등장하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하며, Notcoin이 첫 진정한 게임 사례가 될 수 있도록 노력 중임을 시사했습니다. 앞으로는 토큰 경제는 부가적인 요소로 두고, 사용자들이 친구들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게임성을 강화하는 데 집중할 계획입니다. 끝으로 그는 "노이즈를 걷어낸 솔직한 소통"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향후 Notcoin 커뮤니티와 투명하고 진솔한 대화를 지속함으로써 신뢰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결론
요약하면, WAGMI HUB가 공개한 영상에서 Notcoin 창립자는 초기 폭발적 성장 이후 맞닥뜨린 한계를 직시하고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재정립한 과정을 공유했습니다. 그는 단순 보상형 모델에서 벗어나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인 재미와 가치를 주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강조하며, Notcoin을 하나의 커뮤니티 문화 현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인사이트는 Notcoin의 향후 로드맵을 가늠하게 해주며, 더 나아가 텔레그램 기반 Web3 게임 생태계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댓글 1개
1mini
2025.07.05 20:24:30
ㄱ ㅅ ㅇ
2025.07.05 18: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