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가상화폐 투자를 '잘못된 길'로 규정하자, 2030을 중심으로 거센 반발이 일고 있습니다.
은 위원장의 사퇴까지 촉구하는 청와대 청원에 동의가 확산하자 민주당이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진화에 나섰습니다.
이경국 기자입니다.
[기자]
[은성수 / 금융위원장 (지난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 관심을 갖고 보호해야 한다, 이런 건 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잘못된 길로 가면 잘못된 길로 간다고 분명히 이야기해 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요. 어른들이 이야기해 줘야 한다….]
국회에 나온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가상화폐를 두고 쏟아낸 발언입니다.
가상화폐를 화폐로 인정할 수 없고, 거래소가 대거 폐쇄될 수 있다는 경고까지 했습니다.
이에 투자자들, 특히 2030 세대는 크게 반발했고, 은 위원장 사퇴를 촉구하는 청원까지 등장했습니다.
자신을 30대 직장인이라고 밝힌 청원인은 4050 세대는 시대적 흐름을 타 쉽게 자산을 모으지 않았느냐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열심히 일해도 집 하나 가질 수 없는 2030 세대에겐 왜 기회조차 오지 못하게 하느냐고 비판했습니다.
청원이 올라온 지 하루 만에 벌써 수만 명이 동의한 상황.
재보궐선거에서 청년세대의 외면을 받았던 민주당은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정부와 소통해 사기 피해와 불법행위를 막고, 시장을 건강하게 발전시킬 방법을 고민하겠단 겁니다.
[최인호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청년 세대의 가상화폐 투자가 불가피한 현실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는 (공감이 있었습니다)]
조만간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인 가운데, '가상화폐 특위'가 구성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개별 의원들도 잇따라 '무조건 폐쇄'는 답이 아니라며 목소리를 냈습니다.
신산업의 관점에서 접근해 투자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지적은 물론, 시장에 큰 충격을 줬으니 은 위원장이 책임져야 한다,
왜 청년들이 주식과 가상화폐에 뛰어드는지 이해해야 한다는 질타도 이어졌습니다.
가상화폐 논란은 결국, 일자리와 주거 문제 등에 대한 청년들의 좌절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정부·여당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에 더욱 관심이 쏠리는 이유입니다.
댓글 0개
2021.04.25 15:3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