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가 비트코인(BTC) 선물 시장의 레버리지를 급감시키며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다. 동시에 바이낸스에서 거래 가능한 비트코인의 양도 급감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전통 금융 정책이 암호화폐 생태계에 미치는 파급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최근 바이낸스에서의 비트코인 거래소 보유 비율(Exchange Supply Ratio) 은 0.029로, 과거 대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는 거래소 내에서 즉시 거래 가능한 비트코인의 양이 줄었다는 의미로, 투자자들이 자산을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으로 이동시키며 보유 성향을 강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직후 비트코인 무기한 선물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도 빠르게 하락했다. 시장 분석 계정 FOUR | Crypto Spaces는 과거 최고치였던 39만 5,000BTC에서 37만 8,000BTC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대략 1만 7,000BTC에 해당하며,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3,714억 원에 이른다. 이러한 급락은 변동성 확대에 따른 레버리지 청산(Forced Liquidation) 의 여파로 분석된다.
흥미롭게도, 레버리지가 축소되는 와중에도 가격은 약 11만 7,000달러(약 1억 6,263만 원) 선에서 견고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실수요를 기반으로 한 현물 매수세가 가격을 지지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트레이더들은 현재 11만 6,700달러(약 1억 6,221만 원)와 11만 3,000달러(약 1억 5,707만 원)를 핵심 지지 및 저항선으로 주목하고 있다.
시장 분석가 크립토 불리(Crypto Bully)는 “중요 매물대인 11만 6,700달러를 기준으로 매수/매도 전략을 준비해왔다”며, “해당 구간에서 가격 수용이 이뤄질 경우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이상 상승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그는 또한 11만 5,500달러(약 1억 6,045만 원) 지점의 지수이동평균선(EMA), VWAP, 고거래량구간(HVN) 등의 기술적 지표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결국 이번 금리 인하가 비트코인 시장에 미친 물리적 영향은 이중적 이다. 거래소 내 공급은 줄고, 선물 시장 레버리지는 축소되면서 가격은 연중 고점 근처에서 횡보 중이다. 이는 고강도 투기 자금이 줄어드는 한편, 실수요 기반의 건강한 매수세가 힘을 되찾고 있다는 분석으로 이어진다. 향후 추가 상승을 위한 핵심은, 이러한 전환이 일시적 흐름인지 아니면 구조적 변화의 신호탄인지를 판단하는 데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