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RGB 브리지로 불붙은 비트코인의 다자산 실험…USDT, 라이트닝 네트워크 첫 전송 사례

프로필
이도현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RGB 프로토콜 기반 브리지를 통해 이더리움 USDT가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로 전송되며, 비트코인의 다자산 시대 개막 가능성이 조명됐다. 하지만 보안‧UX‧규제 등 다층적 리스크도 공존한다.

 타이틀/코인이지(CoinEasy)

타이틀/코인이지(CoinEasy)

글로벌 암호화폐 분석 전문 미디어 코인이지(CoinEasy)는 최근 리서치를 통해 이더리움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T가 RGB 프로토콜을 통해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로 전송된 첫 사례를 조명하며, RGB 브리지가 스테이블코인의 활용과 비트코인의 다자산 결제 시대를 여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보안, 사용자 경험(UX), 규제 등 여러 리스크를 수반하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2025년 7월 17일, 비트코인 기반 RGB 프로토콜의 메인넷 버전 v0.11.1이 정식으로 출시됐다. 약 한 달 뒤, Tricorn 팀은 첫 RGB 브리지를 통해 이더리움에서 발행된 USDT를 RGB 포맷으로 전환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이식했다. 이어 RGB 자산은 라이트닝 채널을 통해 초저비용으로 즉시 전송됐다. 코인이지 리서치에 따르면, 이는 비트코인이 단순한 가치 저장 수단에 머무르지 않고 탈중앙 금융(DeFi)과 국경 간 결제, 안정된 멀티 자산 플랫폼 기능까지 아우를 수 있는 확장성의 증거로 해석된다.

RGB 브리지는 탈중앙성과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설계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 사이드 검증 방식 및 비트코인 앵커 정산 구조를 채택해 고급 확장성과 검열 저항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사용자는 브리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더리움 기반 USDT를 락업하면 동일 수량의 RGB 기반 USDT가 비트코인 상에 발행되며, 해당 자산은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통해 즉시 활용 가능하다. 이는 USDT가 이더리움, RGB, 그리고 Taproot 기반 자산으로 분산 운영되는 구조를 의미하며, 새로운 유동성 조성 관점에서 중요한 변화를 야기한다.

특히 RGB는 Taproot Assets 접근법과 대조되는 고유한 기술적 특성을 지닌다. Taproot가 단순한 자산 잔고 모델과 테더사의 공식 네이티브 USDT 발행을 목표로 한다면, RGB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검증을 통해 높은 프라이버시와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코인이지는 이와 같은 구조가 DeFi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수수료 및 검증 데이터 관리 등에서 사용자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한 RGB USDT 활용 분야는 다양하다. 탈중앙 거래소(DEX)에서의 무신뢰 거래, 담보 기반 대출 및 차입, 유동성 공급 등 DeFi 영역은 물론이며, 초대형 결제 인프라를 필요로 하는 기관 투자자에게도 빠른 B2B 정산과 자산 운용 전략 개선이라는 기회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국경 간 소액 결제, 사업자 인프라 비용 절감, 개발자 대상 BTC + 스테이블코인 앱 개발 생태계 강화 등 실사용에 근거한 여러 유스케이스도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초기 기술의 특성상 방대한 리스크도 존재한다. 브리지 컨트랙트 또는 RGB 프로토콜 자체의 미성숙도와 관련된 해킹 위험, 자산 백업 실패 시 복구 불가능성, UX 복잡성은 주요한 기술적‧운영적 리스크로 꼽힌다. 특히 사용자 스스로 시드를 백업하고, 브리징 절차를 충분히 숙지하지 않으면 자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철저한 준비와 소액 테스트가 권장된다. 또한 래핑 자산의 법적 지위나 체인 간 규제 복잡성 문제도 시간에 따라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규제 대응 능력이 생태계 지속 성장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코인이지의 리서치는 이 RGB 브리지가 단지 기술적 성과가 아니라, 비트코인이 멀티 자산 기반 플랫폼으로 발전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의미 있는 진화의 한 장면이라고 강조한다. 하지만 이 전환점은 동시에 매우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실사용 확대에는 여전히 넘어야 할 장벽이 존재한다. 사용자들은 ‘사토시는 표준이다’라는 철학을 잊지 않되, 검증 가능하고 보안 친화적인 방식으로 새로운 자산 실험에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광란의셔터

22:13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광란의셔터

2025.11.05 22:13:5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