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 가격이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현물 솔라나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투자자 관심은 식지 않고 있다. 해당 상품들은 출시 이후 약 4억 7,600만 달러(약 6,453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했으며, 이 흐름은 17일 연속 이어지고 있다.
솔라나는 최근 고점인 186달러(약 25만 원)에서 130달러(약 17만 원)까지 거의 30% 하락했다. 그러나 ETF 시장에선 판매 압력이 아닌 매수 수요가 커지고 있다. 특히 비트와이즈(Bitwise)의 ‘BSOL’ ETF는 이 전체 순유입의 89%에 해당하는 4억 2,400만 달러(약 5,748억 원)를 차지하며 시장 주도적인 위치를 굳히고 있다.
11월 19일 기준 BSOL은 하루 동안 3,500만 달러(약 475억 원)의 신규 투자 자금을 유치했는데, 이는 이 ETF가 기록한 역대 세 번째로 큰 하루 유입 금액이다. 이날은 또 다른 솔라나 기반 상품인 ‘21셰어스 솔라나 ETF’가 1억 달러(약 1,351억 원) 규모의 설정 자산으로 정식 출시된 날이기도 하다. ETF 분석가 에릭 발추나스는 이 점을 강조하며 솔라나 ETF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부각했다.
현물 ETF 유입은 견고하지만, 선물시장에서는 다소 상반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기술적 분석 지표에 따르면 현재 140달러(약 189만 원) 저항선 인근에서 매도 압력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SOL 가격이 120달러(약 162만 원) 수준까지 조정을 받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ETF를 통한 간접 투자는 단기 가격 변동과 관계없이 장기적 펀더멘털에 대한 신뢰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투자자들이 솔라나 생태계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ETF 순유입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긍정적인 시그널로 해석될 수 있다.
TokenPost Ai
🔎 시장 해석
현물 ETF 유입과 가격 조정이 엇갈리는 모습은 솔라나에 대한 구조적인 신뢰가 이어지고 있음을 뜻한다. 단기 하락이 지속되더라도 ETF 유입세는 유효하다면, 장기 상승의 기반이 마련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전략 포인트
기관투자자는 현재 가격이 아닌, 펀더멘털에 대응하고 있다. 선물 시장의 매도 압력도 있지만, 장기 포지션에서는 ETF 흐름이 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 용어정리
- 현물 ETF: 실제 암호화폐를 보유해 가격을 그대로 추종하는 ETF
- 순유입(Net Inflow): ETF로 유입된 자금 총액에서 이탈된 자금을 뺀 순 수치
- AUM: 운용 자산 규모, ETF 내 전체 자산 가치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