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투자자들이 또 한 번 '조정의 파도'를 맞았다. 지난 11일 고점인 10만 7,000달러(약 1억 4,500만 원)를 기록한 이후 불과 열흘 만에 8만 5,000달러(약 1억 1,500만 원)까지 급락하며 2만 달러 넘게 빠졌다. 특히 비트코인 ETF를 통해 투자한 개인들이 대부분 손실 구간에 진입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는 분위기다.
이번 하락으로 인해 비트코인 현물 ETF 평균 보유자는 현재 모두 손실 구간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리서치 회사 비앙코 리서치의 짐 비앙코는 “ETF 평균 매수 단가를 기준으로 보면 현재 상당수 투자자가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ETF 자금 흐름도 악화되는 추세다. 최대 규모의 비트코인 현물 ETF인 블랙록의 IBIT는 이번 주에만 10억 9,000만 달러(약 1조 4,500억 원)에 달하는 자금이 빠져나가며 예탁금 순유출 신기록을 세웠다. 지난 목요일 하루 동안 전체 ETF 시장에서 유출된 금액은 총 9억 320만 달러(약 1조 2,100억 원)였다. 잠시나마 순유입이 발생했던 수요일에도 7,540만 달러(약 1,000억 원)에 그쳤고, 주간 기준 순유출 규모는 14억 5,520만 달러(약 2조 원)로 급증했다.
이처럼 시장 전체가 약세장을 보이는 가운데, 매도세의 원인으로는 여러 요인이 제시됐다. JP모건은 ‘ETF 자금 이탈’이 직접적인 비트코인 가격 하락 요인이라는 보고서를 내놨으며, 일부 분석가는 일본발 거시 뉴스가 영향을 미쳤다는 견해도 내놓았다. 일본 정부가 1,350억 달러(약 180조 원)에 달하는 경기부양책을 승인하자 엔화 약세 우려가 커졌고, 이에 따라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비트코인까지 확산됐다는 것이다.
또 다른 악재로는 고래 투자자의 대규모 매도도 꼽힌다. 온체인 분석 기업 아캄 인텔리전스는 이른바 ‘OG 고래’로 알려진 오웬 군덴이 10월 이후 13억 달러(약 1조 7,600억 원)에 달하는 비트코인을 모두 처분했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크라켄 거래소로 2억 3,000만 달러(약 3,100억 원) 상당을 이체한 거래도 포착됐다.
비트코인의 단기 기술적 반등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일부 분석가들은 아직 ‘최후의 패닉 셀이 끝나지 않았다’는 평가도 내놓고 있다. 특히 단기 보유자 중심의 손절매가 이어지고 있어, 하방 추세의 마무리 구간에 접어든 것인지 여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TokenPost Ai
🔎 시장 해석
비트코인 ETF 붐은 연초 시장 상승의 핵심 동력이었지만, 최근의 자금 유출은 상승 피로감과 함께 '차익실현 구간 진입' 가능성을 의미한다. ETF 투자자의 손실 확대는 신규 진입 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다.
💡 전략 포인트
- 보수적 접근이 필요한 구간으로, ETF 흐름 감지가 중요
- 고래의 온체인 움직임은 공포지표로 작용 가능
- 변동성 확대 중 장기 매수자는 분할 접근이 유효
📘 용어정리
- 비트코인 현물 ETF: 실제 비트코인을 직접 보유하는 상장지수펀드로, 기관 및 일반 투자자 접근을 용이하게 해주는 금융 상품
- 순유출(Net outflow): ETF 펀드 내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을 의미하며, 매도 심리를 반영
- OG 고래: 암호화폐 초기에 대량의 코인을 보유한 인물이나 개인 투자자를 일컫는 말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