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행정명령에서 미국의 사이버 안보에 위협을 가하는 국가로 북한을 새롭게 적시한 것으로 3일(현지시간) 파악됐다.
백악관 홈페이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사이버 안보 강화와 관련해 지난달 6일 서명한 행정명령에서 미국의 사이버 안보를 위협하는 나라로 이전 바이든 행정부의 관련 행정명령에 명시됐던 중국과 함께, 북한과 러시아, 이란을 추가했다.
행정명령은 "외국과 범죄자들은 미국과 미국인을 겨냥한 사이버 공세를 계속한다"며 "중국은 미국 정부, 민간 부문 및 주요 인프라 네트워크에 가장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사이버 위협을 가하고 있지만, 러시아, 이란, 북한과 다른 나라들로부터도 미국의 사이버 안보를 약화하는 상당한 위협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바이든 행정부 임기 끝자락인 지난 1월 16일자 행정명령에는 대미(對美) 사이버 안보 위협의 근원으로 중국만 특정돼 있었으나 이번에 북한, 러시아, 이란을 추가로 적시한 것이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상무부와 국토안보부 등 유관 당국에 북한 등 4개국의 위협에 맞서 사이버 안보를 강화하는 조처를 할 것을 명령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의 가상화폐 절취와 각종 전산망 해킹 등에 대한 경계 수준을 높이고 있다.
앞서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지난 1월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에서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증대되는 사이버 역량"이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 세계의 안정에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