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JP모건 "스테이블코인 성장 과대평가…시총 1조 달러 못 미칠 것"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JP모건은 스테이블코인의 시가총액이 2028년까지 5천억 달러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반면 미국의 지니어스 법안과 재무부 발언은 시장 확대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다.

 JP모건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은 2028년까지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1조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은 "너무 낙관적"이라며 그 절반인 5천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JP모건은 스테이블코인 가운데 결제 수단으로 채택된 비율이 전체 시가총액(약 2천500억달러)의 6%(150억달러)에 불과할 만큼 미미하다며 이같이 판단했다.

스테이블코인의 용도는 대부분 가상화폐 거래, 분산형 금융과 담보에 집중돼 있다면서 "전통적인 화폐를 대체할 것이라는 아이디어는 여전히 현실과 멀리 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한 가상화폐를 말한다. 주로 달러나 유로 등에 교환가치가 고정되게 설계된다. 스테이블코인은 가치를 지탱하기 위해 담보를 두는데, 미국 국채가 많이 활용된다.

가상화폐 시장을 넘어서 채택되는 데에는 제한된 용도, 분산된 규제라는 장애에 직면해 있고, 국제적으로도 대부분의 국가가 자체 디지털 통화 개발이나 기존 결제 시스템 강화에 집중하고 있어 여전히 제한적이라고 JP모건은 설명했다.

지난달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판궁성 행장은 디지털 위안화(e-CNY)의 국제적 사용 확대를 약속했다. 또 중국의 앤트그룹은 모바일 결제 앱 알리페이를 운영하는 앤트 인터내셔널을 통해 홍콩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JP모건은 "디지털 위안화의 급속한 확장이나 알리페이와 위챗페이의 성공은 미래의 스테이블코인 확장 모델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스탠다드차타드는 스테이블코인 시총이 2028년까지 2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고, 증권사 번스타인은 향후 10년간 공급량이 약 4조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달 미국 상원이 지니어스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전통적인 금융권과 일반 기업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니어스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으로 편입하는 입법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와 관련,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달 상원 예산소위원회에서 "미국 국채로 뒷받침되는 스테이블코인 입법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달러 사용을 전 세계적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향후 스테이블코인 시총 전망치로) 2조달러는 매우 합리적인 수치라고 생각한다. 그 수치를 크게 넘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