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인도·홍콩·호주 증시, 비트코인 중심 기업 상장 잇단 거부…암호화폐 재무 전략에 제동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홍콩·인도·호주 증권거래소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중심 자산으로 삼은 기업들의 상장을 잇따라 거부했다. 아시아 시장에서 디지털 자산 중심 재무 전략 확산에 한계가 드러났다는 분석이다.

 중국 홍콩 증권거래소.

중국 홍콩 증권거래소.

인도, 홍콩, 호주 증권거래소가 기업들의 디지털 자산 보유 확대를 사실상 막고 있다. 해당 지역 규제당국은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재무구조를 구성하려는 기업들(DAT‧Digital Asset Treasury) 에 대해 상장 제한 또는 엄격한 요건을 요구하며, 암호화폐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블룸버그는 21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홍콩증권거래소(HKEX) 가 지난 몇 달간 최소 다섯 개 기업의 상장 요청을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기업은 대부분 대차대조표의 상당 비율을 현금성 자산으로 채우겠다는 구조였으며, 그 대상에는 비트코인(BTC) 및 이더리움(ETH) 등 주요 암호화폐가 포함됐다. 거래소 측은 “주요 자산이 유동성 자산에 편중된 ‘현금 기업’은 상장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이유를 들어 이를 반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슷한 움직임은 인도에서도 나타났다. 봄베이 증권거래소(BSE) 는 지난달, 암호화폐 투자 계획을 밝힌 한 기업의 상장을 거부했다. 해당 기업은 공개 후 조달한 자금을 암호화폐에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거래소는 이를 허용하지 않았다.

호주의 시드니 증권거래소(ASX) 또한 유사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ASX는 상장 기업이 전체 자산의 절반 이상을 암호화폐와 같은 현금성 자산으로 구성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규모 있는 디지털 자산 운영모델은 사실상 불가능 해진 상황이다. 거래소 대변인은 “암호화폐 투자를 본격화하려는 기업들에게는 상장지수펀드(ETF)와 같은 다른 구조를 고려하라고 권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조치는 아시아 주요 국가들 사이에서 암호화폐 재무 전략의 수용 한계 를 드러낸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최근 미국 일부 상장사들이 전략적 자산으로 비트코인을 편입하며 성장동력을 확보한 사례와 대비돼 눈길을 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스트레티지(Strategy)는 대규모 비트코인 매입으로 시장 존재감을 키워왔으며, 트럼프 지지 행보까지 더해 암호화폐 투자자들 사이에서 상징적인 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 지역 증시에서는 이러한 전략에 제동이 걸린 셈이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규제는 보수적이지만, 암호화폐와 전통금융 간 접점을 찾으려는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이같은 제한이 완화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