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을 종식시키지 않으면 100%에 달하는 초강력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며, 무역 정책을 다시 한번 외교 무기로 전환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50일 안에 평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러시아와의 모든 교역에 중대한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방침이 나토 사무총장 마르크 뤼터와의 백악관 회동 자리에서 직접 언급됐다.
이 같은 움직임은 그간 미국 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단행해온 일련의 경제 제재에 더해 새로운 압박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 미국의 대러 수입액은 2021년 297억 달러(약 42조 7,000억 원)에서 2024년에는 30억 달러(약 4조 3,000억 원) 수준으로 큰 폭 감소했다. 이는 미국이 러시아의 최대 수출품인 석유와 가스에 대한 제재를 강화한 결과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에 대한 직접 관세 외에도 ‘세컨더리 관세’를 언급했는데, 이는 러시아산 에너지를 구매하는 제3국까지도 제재 대상에 포함하겠다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백악관은 이를 보완 설명하며,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하는 국가들에 대해 간접적인 압박을 가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군사적 대응을 넘어 무역정책 차원에서 전쟁 종식을 목표로 한 새로운 형식의 압박 전략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 조치가 자국 제조업 부활, 재정 수입 확대, 무역 협상력 제고뿐 아니라 마약 밀수 차단, 불법 이민 억제, 외국 지도자 기소 중단 유도 등 다양한 외교 목표에 활용될 수 있다고 강조해왔다.
이전에도 그는 멕시코를 대상으로 한 이민 통제나 브라질을 상대로 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전 대통령 기소 중단, 콜롬비아에 대한 난민 송환 압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세를 전방위 무기로 활용해왔다. 따라서 이번 대러 관세 경고 역시 무역 제재 차원을 넘어 고도의 정치적 수단으로 사용될 공산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나토의 흐름과 패트리어트 미사일 지원 결정 등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우크라이나 지원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평화 달성의 시한을 못박는 한편 이를 경제적 수단과 결합해 러시아에 더욱 실질적인 압박을 가하겠다는 전략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군사력보다 무역과 경제 지렛대를 적극 활용하는 트럼프식 외교의 전형으로, 향후 국제사회와의 관계 설정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