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롯데카드가 대규모 해킹 피해 이후 민감정보 유출 고객 보호 조치에 나섰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카드 재발급과 콜센터 운영 등 사고 대응에 투입된 비용이 총 18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사고 직후 두 달간 발생한 지출로,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신속 대응의 일환이다.
조 대표는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의 질의에 답하면서, 해킹 사건 발생 후 정보보호 예산의 증액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 “이미 편성된 연간 예산 안에서 집행된 것”이라며 “콜센터 인력 운영, 카드 재발급, 정보보호 강화를 포함해 9~10월 두 달 사이에만 180억 원이 소요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롯데카드는 해킹으로 인해 민감정보가 유출됐다고 밝히고, 부정 사용 발생 우려가 큰 고객 28만 명 중 약 23만 명에게 즉각적인 보호 조치를 시행했다. 이 중에는 카드 재발급, 비밀번호 변경, 카드 정지 및 해지 등이 포함된다. 전체 유출 고객 297만 명 중 현재까지 약 146만 명에 대한 조치가 완료됐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조 대표는 또, 지난달 발표한 5년 동안 총 1,100억 원 규모의 정보보호 투자 계획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해당 투자 계획은 연말까지 구체화해 이사회에 정식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해킹 사고 이후 장기적인 보안 체계 강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향후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한 핵심 방안이 될 전망이다.
이번 해킹 사건은 롯데카드뿐만 아니라 금융권 전반의 사이버 보안 체계 강화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시켰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빠른 대응과 제도 정비, 장기적 투자 계획의 실행이 금융당국과 기업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