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대표적인 이공계 대학인 김책공업종합대학이 다음 달 평양에서 국제 규모의 과학기술 토론회를 개최한다. 해당 행사는 북한이 외부 세계와의 기술 교류 문을 여는 움직임으로 해석되며, 국제사회의 대북 과학기술 제재 기조와 맞물려 주목되고 있다.
김책공업종합대학은 “과학기술-발전의 동력, 전략적 자원”이란 주제로 다음 달 국제학술토론회를 연다고 지난 13일 자 교내 웹사이트를 통해 발표했다. 이 대학 측은 “국내외 교육자 및 과학자들이 참가해 각 분야에서의 최신 성과와 아이디어를 발표하길 기대한다”고 밝혀, 실질적인 국제 교류를 통해 첨단 기술의 공유를 도모하려는 의지를 드러냈다.
김책공대는 북한에서 컴퓨터공학, 기계, 중공업 등의 분야에서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이공계 중심 대학이다. 이름은 해방 직후 북한의 첫 산업상을 지낸 김책에서 따왔다. 특히 이 대학은 북한 핵심 공업 및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기관으로, 국내 과학기술력의 중추 역할을 해왔다.
이번 학술토론회 개최는 최근 북한이 러시아, 중국 등 우호국과의 교류를 확대하는 가운데 이뤄진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자생자결을 통한 부흥을 위해 과학기술의 힘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과학기술을 국가 발전의 핵심 자원으로 강조한 바 있다. 이 같은 발언은 과학기술 개발을 통해 제재를 넘어선 독자적인 발전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북한의 정책 기조를 반영한다.
다만 북한의 과학기술 교류는 국제사회에 민감한 사안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016년 11월 대북제재 결의 2321호를 통해, 북한과의 과학기술 협력을 전면 금지한 바 있다. 이는 북한이 과학기술을 군사 프로그램, 특히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예외는 의료협력 등 비군사 분야에만 한정된다.
이 같은 움직임은 북한이 최근 국제 제재의 단속력이 느슨해졌다고 판단하고, 과학기술을 매개로 다시금 외부와의 접점을 넓히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향후 북한이 이 토론회를 계기로 선별적이지만 확대된 기술 교류를 추진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국의 정책 대응도 더욱 정교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