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의 움직임이 박스권 안쪽으로 횡보하면서, 알트 시장의 시작인지 디파이 시장의 시작인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로가 서로의 시장이 시작이라는 듯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저는 디파이 시장의 한가지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제목과 똑같은 내용입니다. 페어 런치란 무엇일까?
이것을 알려드리려면 디파이 시장의 역사, 그리고 어느정도 알려드려야 하겠지만 기존 디파이 시장의 정보는 여러분들도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하지만 페어 런치(Fair Launch)가 나오게 된 개념을 설명하려면 한가지 서론이 필요합니다.
-
2017년, ICO 붐이 일어났습니다. 과거 IT 버블을 연상시키듯 엄청난 자본을 빨아들이며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이라는 단어를 대중들의 머리 속에 각인 시켰습니다. 원래 ICO는 좋은 오픈소스를 개발하기 위해 이더리움을 보유한 수많은 개인들에게 기부를 받고 그에 대한 증서로 자신이 발행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는 간단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에서 시작 되었습니다. 대부분 새롭게 발행된 자산의 가치에 대해서는 고민하지 않았고, 의심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저 그 소프트웨어를 후원한만큼 미래에 그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권을 받는다는 개념이었습니다. 거래소들은 초기 그렇게 발행된 몇몇 디지털 자산을 장밋빛 미래로 포장하여 엄청난 가격 상승을 이뤄냈습니다.
이렇게 단기간에 시장이 급상승했던 이유는 투자 기회가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제공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누구나 투자해서 단기간에 수익을 챙길 수 있는 구조는 어딜 봐도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보통의 스타트업, 유망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기회는 개인에게 제공되기보단 벤처캐피탈과 같은 기관들에게 우선적으로 주어집니다. 업게에 큰 영향력이 있지 않는 이상 개인적으로 투자하기는 어려운 법입니다.
허나 ICO의 경우 양상이 달랐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 기회를 얻음으로써 경쟁이 과열되었고, 창업자의 훌룡한 이력과 그럴싸하게 쓰여진 백서, 명망 높은 투자자들과 어드바이저들의 이름이 올라간 홈페이지만 있어도 몇 백억 원이 순식간에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가치보다 훨씬 부풀려진 미래에는 그 돈이 소강상태가 되는 순간 그 버블은 터지기 마련입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서 매도 물량이 터지기 시작하고, 코인 시장은 순식간에 주저앉았습니다. 이때 많은 투자자들은 깨우쳤습니다. 화려한 이력과 역사가 아니라, 결국 '숫자' 로 측정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마치 일반적인 스타트업에서 사용자수나 매출 같은 지표를 이용해서 펀더멘탈을 측정하듯이 말입니다.
(스시스왑, Fair Launch의 시작)
그리고 디파이 붐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코인 시장이 주저앉으면서 식었던 투자자들의 열망은 디파이 붐이 불면서 다시 디지털 자산으로 열망이 향했습니다. 이번엔 과거에 달리 '숫자'가 함께 존재했습니다. 디파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인 TVL(Total Value Locked ; 총 예치금)은 얼마나 많은 자산이 해당 디파이 프로젝트에 예치가 되어있는지 보여줍니다.
TVL이 클수록 소화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의 규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할 뿐더러 이 수치가 높아질수록 펀더멘탈이 강한 것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이 TVL이라는 지표는 블록체인에 기록된 자산의 규모이기 때문에 투명하게 계산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잘 설계된 디파이는 2017년 ICO 붐과 같이 개인의 자산이 급속도로 몰리면서 서서히 커지고 있었습니다.
허나 이런 상황이다보니 개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가 기여할 수 있는 것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특정 기관 투자자들에게는 굉장히 낮은 밸류에 투자를 받고, 개인 투자자들은 공개모집을 통해 높은 가격에 사도록 만드는 투자 모집의 구조가 굉장히 불공정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몇몇 실험적인 프로젝트들은 토큰을 서비스 런칭하기 전에 아무한테도 투자 받지 않고, 서비스 런칭과 함께 서비스 성장에 기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기여한 수치에 따라 공평하게 나눠주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공평하게 나눠주기로 결정한 토큰 출시 방식을 페어 런치(Fair Launch)라고 부릅니다.
이런 방식의 장점은 마케팅 비용을 따로 지불하지 않더라도 기관과 개인이 스스로 서비스에 들어올 동기부여를 제공함으로써 마케팅이나 홍보 없이도 규모를 빠르게 키울 수 있고, 개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차등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출시한 대표적인 프로젝트는 YFI(Yearn. Finance)는 출시하자마자 시장에서 엄청난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출시한지 2개월만에 전체 토큰 가치 기준 1조원 규모의 서비스로 급성장했습니다.
이 이후로 스시스왑 역시 시장에 엄청난 반향을 일으킵니다. 최대의 탈중앙화 거래소인 유니스왑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개인과 기관들이 스시스왑으로 유동성을 옮기면 그 규모에 비례해서 자체적인 토큰을 분배하기 시작합니다. 유니스왑에서는 유동성을 제공하더라도 아무런 대가가 없었지만 스시스왑은 빨리 옮겨놓을수록 스시스왑의 가치를 대변하는 토큰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유니스왑 전체 유동성의 80% 가량이 스시스왑으로 옮겨갔습니다. 이러한 일을 두고 볼 때 명백히 프로젝트의 성장에 기여하는 사람에게 공정한 방식으로 프로젝트의 과실을 나눠준다면 더 열정적으로 참여하게 된다는 것을 증명하는 사건이었습니다.
(Eklipse Finance, 국내 최초 Fair Launch)
다음 글은 최초로 클레이튼 기반으로 나온 이클립스 파이낸스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댓글 1개
중동스피츠
2021.12.29 21:20:16
감사합니다.
2021.12.21 11: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