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IMF "암호화폐 기능, 틈새 상품에서 투기·약세 통화 헷지용으로 전환"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12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국제통화기금 CI / 국제통화기금

사진 = 국제통화기금 CI / 국제통화기금

[IMF "암호화폐 기능, 틈새 상품에서 투기·약세 통화 헷지용으로 전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IMF(국제통화기금)은 최근 새 보고서에서 암호화폐 기능이 '틈새 상품'에서 투기적 투자, 약세 통화에 대한 헷지, 결제 수단으로 전환됐다고 진단했다. 이어 최근 암호화폐 발행사, 거래소, 헤지펀드의 줄도산으로 각국은 규제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장의 급성장, 감시의 어려움, 규제기관 간 실행 가능한 스킬 부재로 인해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소비자 보호, 재정 건전성 등 규제기관마다 우선시하는 사항이 다르며, 암호화폐 업계에는 채굴자, 밸리데이터, 프로토콜 개발자 등 전통 금융 규제를 쉽게 적용할 수 없는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트론 기반 선닷아이오, USDD-TUSD 슬리피지 없는 스왑 지원]

트론(TRX) 기반 스테이블코인 스왑 플랫폼 선닷아이오가 트위터를 통해 "페깅 안정성 모듈(PSM)을 통해 USDD와 TUSD 간 스왑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PSM은 Peg Stability Module의 약자로, 일반 스왑 플랫폼과 달리 슬리피지 없는 1:1 토큰 스왑을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USDD와 TUSD간 1:1 고정 환율로 스왑할 수 있으며 별도 수수료는 없다.

['서울거래 비상장' 피에스엑스, 국내 첫 STO 청약 실시]

SBS에 따르면 비상장 주식거래 플랫폼 서울거래 비상장 운영사 피에스엑스가 오는 13일부터 국내 최초로 STO(증권형토큰공개) 청약을 실시한다. 기업의 사업 자금을 증권형 토큰 공개를 통해 모집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거래 비상장은 "이번 증권형 토큰 공모 청약을 통해 스타트업 자금조달 지원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증권형 토큰의 범용성을 실험한다"고 오늘(6일) 밝혔다. 피에스엑스는 주식을 소규모 증권형 토큰의 형태로 공모하여 자금을 모집한 후, 서울거래 비상장 플랫폼을 통해 토큰의 매수, 매도를 지원해 유통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증권형 토큰을 받기 위해서는 오는 13일부터 23일까지 서울거래 비상장 앱을 통해 토큰지갑을 생성한 후 청약을 진행하면 된다. 1 토큰의 가격은 7200원으로, 최소 10토큰 이상 청약할 수 있다.

[바이낸스 "USDT→BUSD 자동 전환, 언젠가 도입할 수도"]

오늘 새벽 바이낸스가 USDC, USDP, TUSD 잔액을 BUSD로 자동 전환할 예정이라고 공지한 가운데, 바이낸스가 코인텔레그래프에 "USDT 잔액의 BUSD 자동 전환은 현재로선 계획이 없지만 추후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USDC 잔액의 BUSD 전환 및 일부 거래 중단은 일시적 조치가 아니며 계속 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난센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8월 중순부터 15억달러 상당 USDC를 BUSD로 점진적으로 전환한 바 있다. 현재 바이낸스의 USDC 보유량은 10억달러 미만이며, USDT 보유량은 49억달러 상당이다. 앞서 바이낸스는 9월 29일 12시부터 사용자의 USDC, USDP, TUSD 잔액을 BUSD로 1:1 비율로 자동 전환할 예정이라며 이후 일부 USDC, USDP, TUSD 거래페어 지원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한편, 이와 관련해 USDC 발행사 서클 CEO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는 "이번 조치로 USDT에 집중됐던 점유율이 BUSD, USDC로 분산되며 USDC 유틸리티(사용성)가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네이버-라인 넥스트, 팬덤 NFT 서비스 '나우드롭스' 티저 공개]

연합뉴스에 따르면 네이버는 라인의 대체불가토큰(NFT) 플랫폼 사업 운영 법인 라인 넥스트와 함께 팬덤 기반 NFT 서비스 '나우드롭스'의 티저 홈페이지를 5일 공개했다고 6일 밝혔다. 나우드롭스는 라인 넥스트의 NFT 플랫폼 '도시(DOSI)'에서 선보이는 합작 NFT 서비스다. 팬들이 네이버의 스트리밍 서비스 나우(NOW.)에서 아티스트의 모습을 감상하고 마음에 드는 순간을 NFT로 직접 발행해 만들어진다. 콘텐츠가 공개되면 NFT를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인 '크리스탈'을 콘텐츠별로 사전 구매한 후 특정 장면을 NFT화하는 방식이라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나우드롭스 첫 주자는 이달 컴백하는 JYP엔터테인먼트의 신인 걸그룹 엔믹스(NMIXX)다.

[금융위, 증권형 토큰 가이드라인 4분기 내 마련.. 내년부터 규제 확립]

데일리안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올해 안에 증권형 토큰의 발행과 유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올해 4분기 내 마련하고, 내년부터는 관련 규제를 확립해 나가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6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예탁결제원·자본시장연구원과 세미나를 개최, 이같이 결정했다. 증권형 토큰 규율체계는 내년부터 전자증권법·자본시장법령 개정 등을 통해 확립할 계획이다.

[솔라나 DeGod NFT 프로젝트 y00ts, 민팅 2시간 만에 오픈씨 거래량 1위]

오픈씨 데이터에 따르면 솔라나 기반 NFT 프로젝트 y00ts가 민팅 후 2시간 만에 24시간 거래 차트 1위에 올랐다. 거래액은 6만2656 SOL로, 약 204만 2000달러 상당이다. y00ts는 전날 블로커 버그로 인해 민팅을 24시간 연기한 바 있다. 앞서 코인니스는 NFT 소프트웨어 회사 더스트랩스(Dust Labs)가 y00ts NFT 발행을 위한 시드 펀딩 라운드에서 700만달러를 조달했다고 전한 바 있다.

[와이언파이낸스, PoW 기반 이더리움 체인 지원 안해]

와이언파이낸스(YFI)가 이더리움 PoS 전환에 따라 파생될 것으로 전망되는 작업증명(PoW) 기반 이더리움(ETHW) 포크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와이언파이낸스는 "머지(PoS 전환) 이후 PoW 기반 포크를 지원할 계획이 없으며, 공식적으로 지원되는 네트워크 이외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와이언 볼트의 안전성을 보증할 수 없다"고 전했다.

[비탈릭 "오늘 벨라트릭스 하드포크"..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촉구]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가 방금 전 "머지(PoS 전환)은 9월 13~15일경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 이뤄질 것은 벨라트릭스 하드포크로, 머지를 위해 체인을 '준비'하는 단계다. 이 단계도 중요하므로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해야 한다"고 트윗했다.

[솔라나 DeGod NFT 프로젝트 y00ts 개발사, 700만달러 시드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NFT 소프트웨어 회사 더스트랩스(Dust Labs)는 솔라나 기반 y00ts NFT 발행을 위한 시드 펀딩 라운드에서 700만달러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파운데이션 캐피털(Foundation Capital), 솔라나 벤처스(Solana Ventures), 메타플렉스(Metaplex), 점프(Jump), FTX 벤처스, 챕터 원(Chapter One)이 참여했다. 회사 지분, DUST 토큰 50:50 비율로 투자가 이뤄졌다. DUST는 DeGods 유틸리티 토큰으로, y00ts 민팅에 사용된다.

[지난주 비트코인 가격 변동폭 5.4%.. 20년 10월 이후 가장 좁아]

블룸버그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 변동폭은 지난주 약 5.4%로, 2020년 10월 이후 가장 좁은 폭으로 거래됐다. 미디어는 "2년 전 비슷한 상황이었을 때 수개월에 걸쳐 가격이 급등, 2021년 4월 당시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비트코인, 이더리움의 레버리지 비율은 올 들어 가격이 50% 이상 하락했음에도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싱가포르 암호화폐 투자펀드 QCP 캐피털 공동 설립자 Darius Sit은 "사람들은 시장이 안정됐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더 큰 투기적 포지션을 취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KISA, 2023년 블록체인 공공·민간 지원사업 공모 시작]

아시아경제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2023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지원사업 수요조사'와 '2023년 블록체인 민간분야 집중·확산사업 공모'를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KISA는 국민 일상 속 블록체인 기술 활용의 본격화를 위해 공공·민간분야별로 신규로 추진하는 국민 체감형 대형 프로젝트인 집중사업과 블록체인 파급력이 높은 분야를 발굴하기 위한 확산사업을 추진한다. 권현오 KISA 디지털기반본부장은 “KISA는 이번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국내 블록체인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도성, 성장성 있는 서비스를 발굴해 국민들에게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73.5% 머지 준비 완료]

이더노드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 클라이언트의 73.5%가 머지(PoS 전환) 준비를 완료했다. 이와 관련, 이더리움(ETH) 개발자 팀 베이코는 트위터를 통해 " 머지 지원을 위한 벨라트릭스 컨센서스 레이어 업그레이드가 곧 진행된다"며 "노드 업그레이드를 할 마지막 기회가 남아있다"며 서둘러 업그레이드를 완료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9월 6일 20시 34분경(한국시간) 벨라트릭스 업그레이드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전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2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광란의우덩

2022.09.07 07:59:00

ㄱ 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광란의셔터

2022.09.07 07:31:48

ㄱ 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2.09.07 07:12:55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2.09.07 07:07:07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에버조

2022.09.07 06:54:18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ocn5025

2022.09.07 02:18:4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블루레인

2022.09.07 01:42:04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랑이

2022.09.07 00:24:45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학동또디

2022.09.06 22:55:37

감사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랑이

2022.09.06 21:09:19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