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루비움이 6.72배의 투자 수익률을 기록하며 '오늘의 프로젝트'로 선정된 가운데, 애니모카 브랜즈와 체인GPT 패드도 각각 펀드와 플랫폼 부문에서 주목을 받았다.
체인브로커에 따르면 8월 8일 기준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조9400억 달러, 24시간 거래량은 1610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비트코인은 11만6680달러, 이더리움은 390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디파이 총예치액(TVL)은 1450억 달러로, ▲이더리움(271억 달러) ▲트론(54억5000만 달러) ▲BNB 체인(46억7000만 달러) ▲아비트럼(24억2000만 달러) ▲옵티미즘(8억9800만 달러)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거래소의 24시간 거래량은 ▲바이낸스(249억8000만 달러) ▲게이트아이오(62억9000만 달러) ▲비트겟(48억8000만 달러) ▲바이비트(46억1000만 달러) ▲MEXC 글로벌(44억8000만 달러) ▲오케이엑스(44억8000만 달러) ▲비트마트(40억8000만 달러) ▲코인베이스(36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오늘의 프로젝트 '일루비움'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수는 총 3546개이며, 상승 중인 프로젝트는 1009개, 하락 중인 프로젝트는 366개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투자 수익률(ROI) 6.72배를 기록한 '일루비움(Illuvium)'이 '오늘의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사용자 관심 기준 상위 프로젝트는 ▲에테나(ENA, 1400만 달러) ▲아비트럼(ARB, 1억2400만 달러) ▲MYX 파이낸스(MYX, 18만 달러) ▲솔라나(SOL, 2560만 달러)로 나타났다.
일간 상승률 기준 상위 프로젝트는 ▲서브데스크 에이전츠(Subdesk Agents, +160.0%) ▲페임 파이낸스(Phame Finance, +134.0%) ▲리프(Reef, +116.0%) ▲엔티파이(Entify, +65.3%) ▲우다오(Udao, +55.4%) 등이 뒤를 이었다.
32개 암호화폐 섹터 중 상승세를 보인 섹터는 30개, 하락세를 기록한 섹터는 2개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ROI 0.84배를 기록한 '지갑(Wallet)' 섹터가 '오늘의 섹터'로 선정됐다.

오늘의 펀드 '애니모카 브랜즈'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크립토 펀드 수는 총 417개이며 이 중 361개 펀드가 상승세, 54개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일간 상승률 기준 상위 펀드는 ▲멀티버스엑스(구 엘론체인, +274.0%) ▲시그넷 엘지오 캐피털(+272.0%) ▲덱스트 포스 벤처스(+72.0%) ▲크립토붐 캐피털(+57.7%) ▲메리트 서클(+54.5%) 등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관심 기준 상위 펀드는 ▲a16z(6.18배) ▲바이낸스랩스(3.75배) ▲코인베이스벤처스(3.0배) ▲판테라캐피털(2.08배) 순이다.
이날 투자 수익률(ROI) 1.15배를 기록한 '애니모카 브랜즈(Animoca Brands)'가 '오늘의 펀드'로 선정됐다.
펀드 종목 중 ▲언데드블록스(Undead Blocks, +331.0%) ▲자이로(Xyro, +31.8%) ▲본덱스(Bondex, +13.7%) ▲블록애셋(Blockasset, +11.3%) ▲얼라이언스게임즈(Alliance Games, +11.1%) 등이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애니모카 브랜드의 최근 투자 사례는 ▲디지털엑스(DigitalX Ltd, 1350만 달러) ▲퀘스트플로우(Questflow, 650만 달러) ▲아리아(Aria, 500만 달러) ▲데이터그램(Datagram, 400만 달러) ▲콰크AI(Quack AI, 360만 달러)로 확인됐다.

오늘의 플랫폼 '체인GPT 패드'
현재 론치패드 플랫폼 수는 총 115개이며 이 중 79개가 상승세, 27개는 하락세를 보였다. 평균 ROI는 0.6배,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22.1배, 평균 스테이킹 금액은 17.65달러로 집계됐다.
이달 ROI 기준 상위 플랫폼은 ▲코인리스트(12.7배) ▲바이낸스 월렛(12.0배) ▲바이낸스 런치패드(7.77배) ▲OKX 점프스타트(4.53배) ▲OKX 월렛(3.73배) ▲옥스불(Oxbull, 3.45배) 순이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플랫폼은 ▲바이낸스 런치패드(109B) ▲바이낸스 월렛(109B) ▲OKX 점프스타트(2.72B)였으며, 사용자 관심 기준 상위 플랫폼은 ▲바이비트(1.13배) ▲폴카스타터(0.569배) ▲바이낸스 런치패드(7.76배)로 나타났다.
'체인GPT 패드(ChainGPT Pad)'가 0.374배의 투자 수익률(ROI)을 기록하며 '오늘의 플랫폼'으로 선정됐다.
평균 투자 수익률(ROI)은 0.386배,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7.7배이며, 총 모집 자금은 1540만 달러에 달한다. 스테이킹 락업 기간은 45일, 최소 진입 금액은 97달러로 나타났다.
최근 해당 플랫폼에서 론칭된 프로젝트는 ▲와그미허브(Wagmi Hub, 0.121배) ▲클링크 파이낸스(Klink Finance, 0.0배) ▲허니펀 AI(HoneyFun AI, 0.0326배) ▲림피드(Lympid, 0.267배) 등이다.
24시간 기준 상승 종목은 ▲피에나 파이낸스(Piena Finance, +99.2%) ▲웹3워(Web3war, +37.1%) ▲자이로(XYRO, +26.0%) ▲포모(Fomo, +11.5%) ▲덱체크(Dexcheck, +7.62%) ▲오토레이어(Autolayer, +6.75%) 순으로 집계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