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리움·USDT까지…‘주소 중독’ 암호화폐 사기, 일주일 새 22억 원 피해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주소 중독 사기 기법으로 인해 최근 일주일 동안 22억 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다. 자동 입력 기록을 맹신한 유저들의 실수를 노린 방식으로 이더리움과 USDT가 도난당했다.

 이더리움·USDT까지…‘주소 중독’ 암호화폐 사기, 일주일 새 22억 원 피해 / TokenPost.ai

이더리움·USDT까지…‘주소 중독’ 암호화폐 사기, 일주일 새 22억 원 피해 / TokenPost.ai

암호화폐 사기 수법 중 하나인 '주소 중독(Address Poisoning)' 공격이 최근 한 주 동안 약 22억 2,400만 원(약 160만 달러)의 피해를 유발하며 3월 한 달 동안의 피해액을 넘어섰다.

보안 플랫폼 스캠스니퍼(ScamSniffer)에 따르면, 지난 금요일 한 사용자가 이더리움(ETH) 140개를 잘못된 지갑 주소로 전송해 약 8억 8,470만 원(약 63만 6,500달러)의 손실을 입었다. 이번 사고는 주소 중독 기법이 교묘하게 작동한 결과다. 범죄자는 희생자의 전송 기록에 가짜 지갑 주소를 삽입해놨고, 사용자가 실수로 이를 복사해 자산을 전송하면서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스캠스니퍼는 “해당 사용자의 이더리움 지갑 전송 이력이 이미 수많은 포이즌 주소로 오염된 상태였다”고 전했다.

이와 유사한 피해도 잇따랐는데, 웹3 보안 기업 Web3 Antivirus는 한 사용자가 스테이블코인 USDT 약 12억 2,320만 원(약 88만 달러)을 주소 중독 수법으로 도난당한 사실을 보고했다. 또 다른 피해자는 같은 방식으로 약 1억 1,120만 원(약 8만 달러)을, 또 다른 사용자는 약 8,620만 원(약 6만 2,000달러)을 사기당했다.

코인텔레그래프가 여러 보안 업체의 보고 사례를 종합한 결과, 이번 주에만 주소 중독 공격으로 인해 발생한 피해액은 약 22억 2,400만 원(약 160만 달러)으로 집계된다. 이는 지난 3월 발생한 전체 피해액 약 16억 6,800만 원(약 120만 달러)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주소 중독 공격은 사용자가 복사한 이전 전송 기록을 교묘히 조작해 유사한 가짜 주소를 삽입한 뒤, 복사-붙여넣기 실수를 노리는 방식이다. 특히 지갑 주소가 복잡하고 사용자들이 주소 확인에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피해 발생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자동 입력 기록을 맹신하지 말고, 전송 전 주소 전체를 반드시 직접 대조해야 한다”며 사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