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최근 보유하고 있던 비트코인(BTC) 약 225만 달러(약 30억 원) 상당을 처분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매수 시점이라고 주장해 주목받고 있다. 그는 지난 23일 “역사상 가장 큰 경제 붕괴가 시작됐다”며 금, 은, 비트코인, 이더리움(ETH) 등 실물 가치 기반 자산 매수를 권고했다.
기요사키는 트위터를 통해 “유럽과 아시아뿐 아니라 미국 전역에서도 붕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인공지능(AI)의 급격한 도입이 일자리를 사라지게 만들고 이는 사무실과 부동산 시장에도 여파를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를 ‘부자 아빠의 예언(Rich Dad's Prophecy)’에서 예고한 경제 대전환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비트코인에 대한 그의 언급은 개인적인 매도 사실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기요사키는 수년 전 약 6,000달러에 매입한 비트코인을 개당 9만 달러에 매도했음을 밝히며 이는 ‘차익 실현’일 뿐,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새로운 사업 아이템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다시 매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가 추천하는 보호 자산 목록에는 금과 은이 상위권을 차지하지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역시 ‘시장 충격기에도 버틸 수 있는 가치 저장 수단’이라고 강조된다. 이번 발언은 미국 주요 경제지표가 저조하게 나오고 부동산과 노동 시장의 냉각 조짐이 감지된 가운데 나왔다.
또한 기요사키는 은 가격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70달러(약 9만 4,000원), 2026년까지는 최대 200달러(약 26만 9,000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현금 보유는 리스크가 크다”며 금과 은뿐 아니라 암호화폐 역시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전에도 “비트코인이 향후 25만 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본 바 있다. 이처럼 비트코인을 포기하지 않고 시장 하락기를 방어하는 자산으로 바라보는 그의 시각은 여전히 유효해 보인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기요사키의 발언은 글로벌 거시경제 불안과 함께 디지털 자산에 대한 대체 투자 수단으로서 비트코인의 매력을 재조명하고 있다.
💡 전략 포인트
단기 가격 변동보다는 장기적 가치 저장 수단으로 비트코인과 금, 은을 병행 고려하는 분산 전략이 강조된다.
📘 용어정리
- 차익 실현: 보유 자산의 가치가 상승했을 때 매도해 수익을 실현하는 행위
- 포트폴리오: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 투자해 수익률과 리스크를 조절하는 투자 구성
- 현금 보유 리스크: 인플레이션 또는 통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실질 구매력이 줄어드는 현상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