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가격이 주요 지지선을 하회하며 약세 신호가 뚜렷해지고 있다. 단기 반등 여부에 따라 시장 분위기가 다시 반전될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로선 매도 압력이 계속 지배적인 모습이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200일 이동평균선인 10만 9,000달러(약 10억 9,000만 원)를 하회한 상황이다. 이는 중장기 추세에서도 주요 하락 신호로 해석된다. 그동안 가격은 10만 3,000~10만 8,000달러(약 10억 3,000만~10억 8,000만 원) 수요 영역에서 수차례 반등했지만, 11만 6,000달러(약 11억 6,000만 원)를 넘지 못하면서 점차 낮아지는 고점을 형성해왔다. 시장은 현재 10만 5,000~11만 6,000달러 사이의 '균형 구간' 내에 갇혀 있으며, 다음 방향성을 위한 유동성 조정이 진행 중이다.
일일 마감 가격이 다시 200일 이동평균선을 회복한다면 이는 '베어 트랩(약세 함정)'으로 간주돼 강한 반등의 신호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10만 6,000달러 지지선이 무너지면 10만~10만 2,000달러 부근의 기관 수요 블록을 테스트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4시간 차트를 보면, 비트코인은 현재 상승 쐐기 하단에서의 재반등 여부가 중요하다. 이 구간은 앞서 언급한 일일 균형 구간의 하단과도 맞물려, 단기 반등이 발생할 경우 11만 4,000~11만 6,000달러의 저항대를 되돌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지점마저 무너지면 시장은 보다 급격한 하락세에 직면할 수 있다.
온체인 데이터도 엇갈리는 신호를 보여준다. 글로벌 주요 거래소 전체로 보면 비트코인 보유량이 감소하는 추세로, 이는 장기 보유 성향과 매도 압력 약화를 시사한다. 그러나 바이낸스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최근 몇 주간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는 기관 중심의 단기 거래 활동, 혹은 헤징 거래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거래소 내부 유입이 꾸준히 이어진다면, 단기적인 가격 변동성과 급격한 방향 전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현재 비트코인 시장은 주요 지지선과 저항선 사이에서 팽팽한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다. 단기 추세 반전에 앞서 유의미한 거래량과 온체인 지표의 재확인이 필요하며, 투자자들 역시 뚜렷한 방향성이 형성되기 전까지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