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변동성에 따른 대혼란 '볼마게돈' 경고]
JP모건이 뉴욕증시가 변동성에 따른 대혼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2018년 월가에서 벌어진 '볼마게돈(Volmageddon, 변동성이 초래한 아마게돈)' 사태가 재연될 수도 있다고 JP모건은 전망했다. JP모건의 주식 수석 전략가인 마르코 콜라보니크는 최근 뉴욕증시의 파생옵션 시장의 변동성이 심상치 않다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콜라보니크 분석은 최근 만기가 24시간 이내로 매우 짧은 0DTE(0 days to expiration) 옵션 거래량이 급증한 점을 지적했다. 콜라보니크 분석은 "만약 이러한 옵션이 들어오는 동시에 매도자가 포지션을 지탱할 수 없다면, 커버링이 발생하면서 아주 강한 흐름의 쏠림이 발생할 수 있다"며 "현재와 같이 유동성이 얕은 시장은 이에 따른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즈벡, 외국기업의 암호화폐 거래자금 국내계좌 입금 허용]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중앙은행이 외국기업의 국내 은행 계좌 개설 및 암호화폐 거래 자금 입금을 허용했다. 앞서 우즈베키스탄은 외국기업의 은행 계좌 개설 등을 제한 및 금지한 바 있다. 개정안에 이러한 자금은 암호화폐 매입을 위해 거래소로 이체, 혹은 자금이 유입된 관할권 내 등록된 법인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다만 그 외 다른 목적을 위한 사용은 금지된다. 해당 개정안은 지난 2월 9일 발효됐다.
[델파이 법률고문 "SEC 테라폼랩스 기소, 다른 스테이블코인 공격 위한 포석"]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델파이 디지털 법률고문 가브리엘 샤피로(Gabriel Shapiro)가 "이번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테라폼랩스와 대표 권도형 기소는 다른 스테이블코인을 공격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주장했다. 샤피로는 "SEC는 '하위 테스트(Howey Test)'를 기준으로 USTC, LUNC, wLUNA가 모두 미국 증권법상 증권에 해당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SEC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인터그레이션, 프로모션, 마케팅, 상업적 거래 등이 타인의 노력이며,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SEC는 "권 대표와 테라폼랩스가 미등록 증권에 해당하는 암호화폐를 판매해 수십억달러를 조달했다"며, 증권법 및 거래법 상 등록 및 사기방지 조항 위반 혐의로 기소한 바 있다.
['TRU 최대 보유자' 블록타워 캐피탈, 333만 TRU 매각]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 트루파이의 거버넌스 토큰 TRU 최대 보유자인 블록타워 캐피탈(BlockTower Capital)이 333만 TRU를 현금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타워 캐피탈은 약 6시간 전 코인베이스로 2200만 TRU(약 240만 달러)를 이체한 후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통해 333만 TRU를 매각했다. 평균 매도가는 0.086 달러다. 앞서 지난 2020년 9월 블록타워 캐피탈은 1250만 TRU를 매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TRU는 현재 86.91% 오른 0.0839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미결제 약정 규모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9.54%)
롱 49.05% | 숏 50.95%
2.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2.35%)
롱 48.30% | 숏 51.70%
3.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1.94%)
롱 49.33% | 숏 50.67%
[검찰, '2200억 가상화폐 사기' QRC 대표 징역 10년형에 항소]
검찰이 암호화폐 플랫폼 사업을 미끼로 북한이탈주민 등 취약계층으로부터 2200억여원을 가로챈 혐의로 기소된 QRC뱅크 대표 고모(40) 씨에게 징역 10년을 선고한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 고씨와 함께 기소돼 각각 징역 5년과 3년을 선고받은 QRC 임직원 안모 씨, 김모 씨에 대해서도 항소했다. 앞서 검찰은 고씨에게 징역 15년, 안씨와 김씨에게 각각 징역 10년과 7년을 구형한 바 있다. 이들은 투자자 5400여명에게 사업에 투자하면 300%의 수익을 보장한다고 속였고, 이를 통해 2200억여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빗썸 AMO 투자유의 종목 지정 연장]
빗썸이 아모(AMO)의 투자유의 종목 지정을 연장한다고 공지했다. 3월 27~31일 추가적인 투자유의종목 지정 연장, 해제 및 거래지원 종료 등을 공지할 예정이다.
[바이낸스 CEO "BUSD 시총 24.5억 달러 감소... USDT로 이동"]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트위터를 통해 "BUSD 시가총액은 161억 달러에서 137억 달러로 24.5억 달러 감소했다. 그리고 (감소한) 물량 대부분이 USDT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USDT 시총은 678억 달러에서 701억 달러로 23.7억 달러 증가했다. 참고로 바이낸스는 BUSD 발행 주체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비트코인 핵심 코드 관리자 5명으로 감소]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비트코인 핵심 코드 관리자였던 앤드류 차우(Andrew Chow)가 조직을 떠나, 비트코인 코드 변경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가진 인원이 5명으로 감소했다. 통계에 따르면, 2009년 비트코인 출시 이후 사토시 나카모토를 포함해 17명에게만 비트코인 핵심 코드 변경 권한이 부여됐다. 비트코인의 핵심 코드 관리자들이 떠난 이유로는 적은 보상이 꼽힌다. 구글의 중간급 프로그래머가 최대 22만 5천 달러 연봉을 받는 데 비해 비트코인 관리자는 연간 10만 달러에서 15만 달러의 보조금을 받고 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XCN·WETH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XCN $303,338
2. WETH $260,383
3. MATIC $176,466
4. LDO $54,528
[日 중앙은행, 4월 CBDC 시범 프로그램 시작]
로이터에 따르면 일본중앙은행(BOJ)이 오는 4월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 발행을 위한 시범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우치다 신이치 BOJ 차기 부총재는 민간 은행 임원들과 가진 회의에서 "이번 시범 프로그램을 통해 민간 기업과의 협력이 강화되고 CBDC가 개선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美 캘리포니아주, 암호화폐 스캠 트래커 출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 금융당국(DFPI)이 암호화폐 스캠 트래커(crypto scam tracker)를 출시했다. 규제 당국은 매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및 데이터 앱 등을 통해 발생한 수 천건의 암호화폐 사기 컴플레인을 접수했고, 이를 기반으로 트래커를 출시했다는 설명이다. 스캠 트래커에는 잠재적인 사기성 웹 사이트 혹은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조회할 수 있는 검색 기능이 포함돼 있다.
[위메이드,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프로젝트 ‘위믹스 캔버스’ 공개]
위메이드가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프로젝트인 ‘위믹스 캔버스’를 싱가포르에서 열린 블록체인 페스트(Blockchain Fest) 2023에서 공개했다고 17일 밝혔다. 위믹스 캔버스는 ZK 롤업 구현을 위한 초석 단계로, ZK 결함 증명을 통한 옵티미스틱 롤업을 도입해 2023년 1분기에 테스트넷을, 6월에 메인넷을 론칭할 예정이다. 이후 다수 석학들이 참여한 영지식증명 연구 학회와 함께 ZK 증명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 및 보완해, 2024년 말까지 이더리움 가상 머신 완전 호환 ZK 롤업으로 전환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특정 주소, 락업 해제 물량 144만 IMX 바이낸스로 이체]
온체인 분석가 Bit유진(余烬)이 트위터를 통해 "특정 주소(0x6eF23로 시작)가 5시간 전 144만 IMX(약 165만 달러 상당)를 바이낸스로 이체했다. 이는 49일 전 락업 해제된 물량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옵티미즘, 커뮤니티 베드락 업그레이드 투표 연기... 3/2~4/5 예정]
이더리움 레이어2 확장성 솔루션 옵티미즘(OP)이 트위터를 통해 메인넷 베드락(Bedrock) 업그레이드 제안에 대한 커뮤니티 투표 일정이 연기됐다고 공지했다. 옵티미즘은 "버그가 발견,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표를 연기했다. 투표는 3월 2일~4월 5일 사이에 진행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옵티미즘이 공개한 베드락은 이더리움의 코드, 인프라 및 디자인 패턴을 최대한 인용하도록 설계됐다.
[맵프로토콜 공동 창업자 "알리바바 클라우드 싱가포르 액셀러레이터와 파트너십"]
맵프로토콜(MAPO, 전 MAP) 공동 창업자 제임스 청이 트위터를 통해 "알리바바 클라우드 싱가포르 액셀러레이터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다무스 "구글플레이 스토어상 다무스 가짜"]
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다무스(Damus)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구글 플레이(Google Play) 스토어에 올라와있는 다무스는 우리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다. 이것은 사기 앱으로, 프라이빗키를 갈취할 의도일 가능성이 있다. 다무스는 iOS 및 macOS만 지원한다"고 전했다.
[달러-원 환율 1300원 일시 돌파]
달러-원 환율이 장중 1300.2원을 찍었다가 현재 1299.30원에 거래 중이다.
[세이 네트워크, 스테이킹 게임 출시]
코스모스 기반 레이어1 블록체인 세이 네트워크(Sei Network)가 트위터를 통해 "활성 검증인의 스테이킹된 SEI 위임 및 재위임 시물레이션 게임 '스테이크 잇 틸 유 메이크(Stake It Till You Make)'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게임은 세이네트워크 앱을 통해 플레이할 수 있으며 3월 2일까지 매일 오전 9시(한국시간) 새 라운드가 시작된다. 상위 플레이어에는 테스트넷 상품을 제공한다
[도라그랜트DAO, $10만 지원금 제공 영지식 투표 2라운드 마감]
커뮤니티 주도 멀티체인 웹3 생태계 오픈소스 개발자 후원 프로그램 '도라그랜트DAO'(Dora Grant DAO)의 영지식 투표 2라운드가 마감됐다. 10만 달러의 지원금을 프로젝트에 제공하는 이번 라운드는 작년 10월 8일 제안됐으며 커뮤니티 투표는 올 해 2월 9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됐다. 투표의 최종 결과는 18일 발표된다. 투표결과에 따라 2차 지원금 10만 달러가 배분되며, 지원금 배분은 최종 후보 프로젝트에 대한 실사 조사 결과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다.
[에이프코인 캡슐 제작 안건 투표 진행 중...20 APE 보유자 무료 신청]
에이프코인DAO가 에이프코인 캡슐(ApeCoin Capsules) 1000개를 제작하는 안건을 상정해 현재 투표가 진행 중이다. 캡슐에는 스티커 4개, 패치 1개, 포스터 1개가 포함된다. 지갑에 20 APE가 있는 누구나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에이프코인 캡슐 제작 비용은 3800 APE가 들 것으로 예상된다. 투표 종료일은 2월 23일 11시다.
[YGG, 토큰 세일로 1380만 달러 조달... a16z·DWF랩스 참여]
글로벌 웹3 게임 길드 '일드 길드 게임즈(YGG)’가 토큰 세일을 통해 1380만 달러를 조달했다. 토큰 세일에는 DWF랩스(DWF Labs)와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가 참여했다. 이에 대해 개비 디존(Gabby Dizon) YGG 공동창업자는 "토큰 세일은 지난해 말 완료됐지만, 당시 업계 상황으로 인해 발표가 늦어졌다. 투자금은 자체 소울바운드토큰 개발에 사용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마로, 2월 27일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마로(MARO)가 17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마로 네트워크가 2023년 2월 27일 오전 11시(한국시간)부터 gttc 0.2.3 으로 업그레이드 될 예정이다.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후 모든 공식 지갑 주소와 txid는 0x 형식으로 전환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