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은 누구의 허가도 필요 없는 ‘소유자 중심의 화폐’라는 주장이 나왔다. 블록스트림(Blockstream) 공동 창업자이자 CEO인 아담 백은 최근 SNS를 통해 비트코인이 사이퍼펑크들이 꿈꿨던 '무허가 디지털 현금(bearer ecash)'의 실현이라고 강조했다.
백은 "비트코인은 허가가 필요 없는 소유자 기반 화폐(permissionless bearer money)"라며 "사이퍼펑크(Cypherpunk) 운동의 이상을 그대로 구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비트코인이 10만 5,000달러(약 1억 5,750만 원) 선으로 떨어지는 등 높은 가격 변동성을 겪고 있는 시점에 나왔다.
그는 비트코인의 근본적인 특징으로 ‘접근성’을 꼽았다. 인터넷만 있으면 누구나 지갑을 생성하고, 개인 키를 확보해 비트코인을 거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은행 계좌 개설이나 각종 규제를 거쳐야 하는 기존 금융 시스템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또한 백은 비트코인이 ‘소유자 중심 화폐’로서의 특징을 갖는다고 했다.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키만 소유하면, 국가든 기관이든 자금을 몰수하거나 동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한 번 확정되면 되돌릴 수 없다"며, 이는 아무도 거래에 개입할 수 없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비트코인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가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하게 했던 기술로는 '작업증명(PoW)'과 '탈중앙 원장', '신뢰 불요 발행 구조' 등을 꼽았다. 백은 이런 구조가 기존 금융 시스템의 중앙 집중 문제를 해결했다고 평가했다.
최근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인 12만 6,000달러(약 1억 8,900만 원)를 기록했지만 이후부터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과 고래들의 관심도 눈에 띄게 줄어든 상황이다. 이 가운데 백은 비트코인 커뮤니티에 “노이즈와 정보 왜곡에 휘둘리지 말고 생태계 강화에 집중하라”고 조언한 바 있다.
또 다른 긍정적인 신호로는 룩셈부르크가 유로존 국가 중 처음으로 비트코인에 공식 투자했다는 점도 있다. 비록 전체 외환보유액 중 1% 수준의 소액 투자였지만, 백은 이를 "의미 있는 변화의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국가 차원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비트코인이 제도권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다만, 현재 비트코인은 고래 투자자들과 스팟 ETF 시장에서 자금 유출이 계속되고 있어 단기적인 가격 모멘텀은 제한적이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의 주기영 대표는 "거시경제 환경이 개선되고 자금 유입 흐름이 재개된다면, 이른바 '바닥 매수(Buy the dip)'가 유효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